200912046348
제공 | 한국프로축구연맹

프로축구 K리그가 ‘불혹’(不惑)의 40주년을 맞았다. 출범 원년인 1983년 5개 팀으로 출발해 여러 차례 진화를 거친 K리그는 2023년 1, 2부 25개 구단 체제의 거대 시장으로 변모했다. 아시아 챔피언스리그 최다 우승(10회)을 차지한 리그이기도 하다. 수치로 보는 K리그의 대외 경쟁력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열악한 축구 산업 환경 속에서 기업구단은 갈수록 투자 규모를 줄이고 있고, 시도민구단은 정치적 희생양이 되고 있다. 관중 동원력이 떨어지는 팀도 즐비해 ‘그들만의 리그’에서 완벽하게 벗어나지 못했다. 스포츠서울은 4회에 걸쳐 마흔 살이 된 K리그의 현실을 짚어보고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제언을 담아보고자 한다.<편집자주>

[스포츠서울 | 박준범기자] K리그는 여전히 폐쇄적이다. 특히 부상자와 관련한 정보에는 더욱 입을 닫는 경향이 있다. 응원 선수가 결장해도 어떤 이유인지 알 방법이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경기 기자회견을 통해 알려지기도 하지만 100% 정확한 사례라고 하기는 어렵다. 미디어를 통해 언급되지 않은 선수들은 부상 부위나 경위 그리고 언제 복귀가 가능한지를 확인할 방도가 전무하다. 팬이 알아야 할 ‘권리’가 충분히 보장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주된 이유는 ‘전력 노출’이다. 특히 주전급 또는 핵심 선수가 이탈할 경우 그 사실을 공식 채널을 통해 알리는 것이 팀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A구단 관계자는 “굳이 우리 팀이 쥐고 있는 패를 스스로 말하고 공개할 필요가 없지 않을까. 그 자체로 상대의 전술과 전략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짚었다. B구단 관계자는 “부상은 선수 뿐 아니라 의무 스태프 등 다른 관계자들이 연관된 사안이다. 만약 구단이 밝힌 복귀 시점까지 선수가 복귀하지 못하면 그에 따른 비판을 구단이 또 받아야 한다”고 경계했다.

그러나 해외에서는 부상자 공개에 굉장히 개방적이다.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의 경우 부상자가 나오면 해당 구단은 물론 프리미어리그 공식 홈페이지에도 관련한 내용이 공지된다. 꼭 해당 구단을 응원하지 않더라도 누구나 접근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부상 부위와 복귀 시기 등이 생각보다 상세하게 적혀 있다. 그만큼 부상자 관련 정보 공개에 있어 주저함이 없다.

일각에서는 구단의 자발적 참여가 어려울 경우 한국프로축구연맹의 주도 하에 부상자 공개를 의무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현실적으로 쉽지 않더라도 모든 선수의 부상을 알리기 어렵다면 장기 부상자 또는 시즌 아웃이 되는 경우 구단이 공식 채널을 통해 알리는 것도 타협안이 될 수 있다.

C구단 관계자는 “구단 SNS를 통해 많은 팬이 부상자의 상황과 경위를 묻는다. 대답하기 곤란한 측면이 있다”라며 “구단에서 부상자를 감춘다고 하지만 감춰지지 않는다. 여러 경로를 통해 상대 팀의 상황을 알 수 있는 게 현실이다. 굳이 공개하지 않을 이유는 없다”고 의견을 피력했다. D구단 관계자는 “부상자를 숨기게 되면 해당 선수가 구단의 사회공헌 또는 지역 밀착 활동에 동행하는 것도 조심스럽다. 이런 부분도 고려됐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K리그는 구단과 선수의 계약기간을 공개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구단과 선수간 합의를 통해 비공개하는 사례가 상당수다. 시즌이 종료되면 국내 선수와 외국 선수 연봉 TOP 5를 공개하는 것이 전부다. 반면 유럽 축구는 물론 국내 양대 프로스포츠인 프로야구는 계약기간은 물론 계약금, 연봉, 옵션의 세부 사항까지 숨김없이 공개한다. 계약기간으로 인해 향후 나올 수 있는 뒷이야기에 대한 걱정 때문이라지만 지나치게 감춘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c48416
제공 | 한국프로축구연맹

알권리는 비시즌 홍보에서도 충족되지 않는다. 홍보 담당자가 지원 업무를 하긴 하지만 대부분 짧은 기간이고 취재진 지원이 주요 업무다. 지난해부터 2년 연속 프로축구연맹 주도로 진행한 미디어 캠프가 없었다면 그마저도 기간은 짧았을 것이다. 취재진이 현장에 가더라도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종종 있다. 구단 유튜브나 SNS를 활용한 라이브가 간간이 이뤄지지만 횟수는 그리 많지 않다. 전지훈련지에서 생기는 소소한 이야깃거리나 신인 또는 이적생들의 적응 스토리 등은 찾기 힘들다. 일부 구단에서는 전지훈련지 취재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는 곳도 있다.

전지훈련에서 진행되는 평가전도 ‘비공개’에 가깝다. 프로 야구를 살펴봐도 평가전 결과와 기록지 전달은 물론 취재진의 선수 인터뷰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한다. 전지훈련지에서 구단이 자체 생산한 자료와 아이템들도 제법 된다. 이와 달리 K리그는 결과와 득점자만 공개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역시 제한적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완화로 대부분의 구단이 전지훈련지를 해외로 택하면서 비시즌 구단 홍보는 더욱 줄어들었다. 일부 팬은 선수의 SNS를 통해 자신이 응원하는 팀과 선수의 소식을 접하기도 한다.

K리그가 더욱더 대중적인 스포츠로 올라서기 위해선 폐쇄성을 걷어내야 한다. 프로스포츠의 핵심 가치는 팬이다. 팬이 궁금해 하는 것을 마냥 숨기기만 해서는 대중적인 스포츠로 발돋움하기 어렵다.

beom2@sportsseoul.com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