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서울 | 원성윤 기자] MBN 드라마 ‘세자가 사라졌다’는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해종이라는 가상의 왕을 내세웠다. 덕분에 드라마는 역사적 고증에서 한껏 자유로워졌다.

‘세자가 사라졌다’는 어의가 지은 약을 먹고 잠든 왕이 잠에서 깨어난 뒤 왕위를 되찾는다는 내용을 그렸다. 얼핏 인조의 아들 소현세자를 둘러싼 의문의 죽음을 연상케 한다. 왕도 세자도 없는 사이 수렴청정을 하는 대비의 모습에선 외척이 득세한 세도정치가 떠오른다.

하지만 가상사극이라는 점에서 그간 대하사극의 단점으로 꼽혔던 역사왜곡 시비에서 벗어났다. 대하사극은 역사적 사실과 조금이라도 차이가 있으면 사학자들의 비판을 받고, 나아가 관련 문중에서 고소·고발까지 이어졌다. 퓨전 사극 역시 ‘역사적 사실과 다르다’고 고지해도 실존 인물이 등장하면 여지없이 논란이 이어졌다.

‘가상의 왕’을 내세운 ‘세자가 사라졌다’는 고증 부담에서 벗어나면서 고전 소설을 극에 녹여냈다. 조선 광해군 시절 장원급제한 유몽인이 지은 ‘어우야담’이 모티프다. 보쌈을 당한 선비가 한 여인과 동침하게 되는 스토리로 극 중에선 야행을 나온 세자가 보쌈을 당해 세자빈이 될 여자와 만나게 되는 이야기로 설정을 바꿨다.

주인공인 세자 이건 역을 맡은 엑소 수호는 ‘확신의 세자상’이란 애칭처럼 기품 있으면서도 장난기 가득한 모습으로 첫 사극 데뷔를 나무랄데없이 훌륭히 소화해냈다.

함께 호흡을 맞춘 최명윤(홍예지 분)도 단아하지만 코믹한 캐릭터를 살려 극의 활기를 더했다. 조선시대 여성의 전형성을 뒤집은 명윤은 동네 사내들과 싸움에서도 전혀 밀리지 않는 인물이다. 술내기에서 이긴 뒤 거나하게 취해 집으로 들어오곤 한다. 성리학적 엄숙주의가 지배했던 조선에서 불가능한 일이지만 ‘가상의 인물’을 내세운 로맨틱코미디 사극이기에 가능한 설정이다.

드라마는 두 젊은 남녀 캐릭터와 더불어 세자빈의 아버지인 어의 최상록(김주헌 분)과 대비 민수련(명세빈 분)이 알고 보니 연이었다는 스토리가 입혀지면서 새로운 갈등 구도가 마련됐다. 대비는 유폐된 뒤 반정을 통해 현 집권 세력과 함께 권좌에 올랐으나, 예기치 않은 불륜 장면을 세자인 이건이 목격하면서 서로 등을 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 직면하게 됐다.

이런 로맨스와 사극을 잘 버무린 건 전작 ‘보쌈-운명을 훔치다’(2021)을 집필한 김지수 작가의 필력과 MBC ‘킬미힐미’(2015), MBC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2017)을 연출한 김진만 PD의 합이 빛을 발한 덕분이다.

‘세자가 사라졌다’는 최상록-민수련과 세자 이건이 갈등을 빚으면서 절정에 달했다. 깨어나지 못했던 해종은 궁궐로 돌아와 왕좌를 되찾았고, 왕은 죄인들을 직접 추국하겠다는 엄포까지 선언하며 카타르시스를 안겼다. 지난 18회 시청률이 4.5%(닐슨코리아 유료가구 전국 기준)를 기록하며 4.2%를 기록한 tvN ‘졸업’을 간발의 차로 누른 것도 이같은 요인 덕분이다.

종영까지 단 1회 남은 ‘세자가 사라졌다’가 어디로 갈지 점쳐보는 것도 관전포인트 중 하나다. 최상록의 딸인 세자빈 최명윤을 모두 살릴 수 있을까. 역사를 되짚어보면 태종(이방원) 때처럼 외척 가문을 밀어내고 세자빈만 남기는 방식을 택할 수 있다. 또는 아버지 최명윤을 살리고 모두가 행복한 해피엔딩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궁중 암투 스토리보다 이 드라마의 매력은 따로 있다.

“서방님~ 하고 한 번만 더 불러주면 될 것을.”(수호)

“저 욕도 잘하는데, 듣고 싶으십니까.”(홍예지) socool@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