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대통령’을 뽑는 제42대 대한체육회장 선거가 전례 없는 뜨거운 경쟁 구도로 주목받고 있다. 역대 최다인 6명의 후보가 등록, 다자 구도다. 갈수록 과학화, 산업화하는 체육계는 단순히 체육인 뿐 아니라 온 국민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자연스럽게 공정과 상식이라는 사회 트렌드가 반영, 혁신을 넘어 그 이상의 가치를 바라는 목소리가 크다. 그게 이번 체육회장 선거 경쟁률로 반영됐다. 체육회장의 정책과 철학이 향후 한국 체육에 미칠 영향은 더욱더 커질 전망이다. 스포츠서울은 선거를 앞두고 6명의 후보를 만나 대표 정책 공약에 관한 세부적인 비전을 들었다. 2244명의 선거인단은 물론 한국 체육을 사랑하는 모든 이들에게 전하는 최후 출사표도 담았다.<편집자주>

[스포츠서울 | 김용일 기자] 제42대 대한체육회장 선거에 나선 기호 6번 강신욱(69) 단국대 명예교수는 지방체육회의 재정 독립을 최대 정책 공약으로 삼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국민체육진흥법을 개정, 지방체육회가 각 자치단체로부터 예산을 독립적으로 확보해 정치적 영향으로부터도 벗어나게 하는 것이다.

강 후보는 “17개 시도, 228개 시군구 체육회로부터 정말 많은 말씀을 들었다. 공통된 견해가 예산의 안정적 확보”라며 “대한체육회와 국민생활체육회가 통합됐지만 예산 독립이 이뤄지지 않아 차라리 따로 있었을 때가 좋았다고 한다. 자치단체가 예산을 쥐고 길들인다. 정치 예속화가 지속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체육회와 자치단체의 관계가 좋아도 문제더라. 양 단체 수장이 같은 정치 성향이어도 미래 경쟁자가 되는 것을 꺼려 협업이 안 된다”며 “지방체육회장은 대다수 무보수 봉사직으로 일하는 데 자치단체 실무자 눈치 보기 바빠 고통을 호소한다”고 말했다.

이런 구조에서 지방 생활체육지도자 등 또다른 구성원 역시 사기가 크게 떨어져 있다고 했다. 강 후보는 “지방체육회는 매년 자치단체 보조금에 의존해 생활체육지도자 급여를 챙긴다. 3인 가족 최저 생계비인 월 287만 원에 못 미치는 220~230만 원 받는 이들이 상당수”라며 “지자체 살림이 나은 곳은 그나마 수당을 조금 더 주는 데 그렇지 않은 곳은 같은 일을 해도 덜 받는다. 자괴감이 들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강 후보는 국민체육진흥법 제18조 ‘지방자치단체는 예산 범위 내에서 지방체육회에 지원해야 한다’는 내용을 독소조항이라고 여러 번 강조했다. 그는 “예산 범위 내라는 건 두루뭉술한 표현이다. 자치단체마다 세수도, 규모도, 인구도 다르다. 내부적으로 전국 228개 시군구의 (자치단체로부터 받는 예산) 평균을 내봤는데 지자체 예산의 0.7%였다. 난 0.7% 이상을 지방체육회에 지원해야 한다는 것으로 개정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0.7%에 두고 자치단체장이나, 지방체육회장이 반발할 수 있지만 모두 최소한의 양보를 통해 접점을 찾아야 한다. 체육계가 힘을 합쳐서 정치권에 호소하고 (법률을 개정할) 기틀을 만들어야 한다. 내가 회장이 된다면 이것부터 시행하겠다”고 덧붙였다.

●선거인단에게…“정부가 체육회에 대규모 예산을 지원하는 건 이유가 있다. 재능 있는 선수 길러서 국위선양을 하게 하고, 사회 전반에도 건강한 기풍을 만들라는 것 등이다. 그런데 체육계는 과거에 갇혀서 한 발짝도 못 나가는 수렁에 빠져 있다. 대한체육회가 그 중심에 있다. 더 심각한 건 시스템보다 인적 자원 결함이 크다는 것이다. 이번 기회에 반드시 도려내야 한다. 해내지 못하면 나부터 국민에게 고개 들 수 없을 것 같다. 꼭 바꾸겠다. 지지해달라.” kyi0486@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