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정민

[스포츠서울 최진실기자]배우 황정민이 영화 ‘공작’(윤종빈 감독)을 통해 배운 점을 전했다.

황정민은 지난 8일 개봉한 ‘공작’을 통해 오랜만에 관객들과 만났다. ‘공작’은 1990년대 ‘흑금성’이란 암호명으로 북핵의 실체를 파헤치기 위해 북측 고위 간부에게 접근한 안기부 스파이 박석영(황정민 분)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황정민은 ‘공작’을 통해 스파이 ‘흑금성’과 인간 박석영을 오가며 그 사이에서 느끼는 인물의 고뇌와 복잡한 내면을 표현해낼 수 있었다. 더불어 ‘구강액션’이란 영화의 수식어가 있을 만큼 화려한 신체 액션 못지않은 긴장감 넘치는 대사의 액션을 선보일 수 있었다.

황정민 역시 “첩보물이란 이야기를 듣고 상상 속에서 안경도 던지고 하는 화려한 액션 생각으로 난리가 났는데 대본을 보니 아니더라”고 너털웃음을 지으며 “이 이야기는 사실이고 결이 다르더라”고 ‘공작’만의 특별함을 전했다. 또한 “감독님께서 초반 모든 대사 신이 액션 신처럼 느껴졌으면 좋겠다고 했다. 다이나믹한 구강액션이라 했는데 사실 말하기는 쉽지만 표현하긴 어려웠다. 관객들이 과연 구강액션으로 긴장감을 가질 수 있을까 싶었다. 그것을 쌓아가는 것이 힘들었다”고 연기의 어려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공작’은 실존 인물인 박채서의 이야기를 모티프로 한 작품이다. 먼 과거의 일이 아니지만 많은 이들이 몰랐던 사건이기도 하다. 황정민 역시 “저도 당시를 살았는데 몰랐었다. ‘헐’이란 반응이 첫 시작이었다. 쉽게 생각할 것이 아니라 생각했다. 계속 고민도 됐고 결국 모든 것을 내려 놓고 이성민 형과 이야기를 하며 맞추기 시작했다. 큰 힘이 됐고 마지막 장면은 쉽게 촬영할 수 있었다. 우리가 이걸 촬영하려 고생했나보다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미 ‘천만 배우’라는 수식어를 갖고 있는 황정민이지만 이번 ‘공작’을 통해 자괴감에 빠졌다는 솔직한 이야기를 전하기도 했다. 그는 “가끔씩 바닥을 치게 되는 스스로를 보게 되는 시점이 오게 된다. 왜 이렇게 모든 것을 쉽게 생각했나 자괴감에 빠지는 시기가 온다. 성민 형과 그런 것에 대해 공유하게 됐다. 그동안 전에 했던 작업은 내가 잘할 수 있는 액션만 보고 연기에 관성이 생겼었다. 열심히 했다고 하지만 관성이 생긴 것이었다. 놓치고 간 것이 많았다. ‘공작’을 하며 큰 공부가 됐다”고 말하며 작품의 의미를 전했다.

큰 힘이 돼준 만큼 ‘공작’에서는 황정민과 이성민의 대립부터 ‘브로맨스’까지 다채로운 호흡이 빛나기도 했다. “일부러 브로맨스를 한 것이 아니었다”고 말한 황정민은 “그런데 조금씩 단비에 젖듯 촬영이 진행됐다. 처음부터 브로맨스를 시작하려 했으면 간지러웠을텐데 서로 모자란 것을 보충해주고 촬영을 진행하다 보니 나중엔 뭉클함이 오더라. 그래서 영화가 주려는 큰 주제의식과 맞닿았다고 생각했다. 작게는 개인 간의 우정이기도 하고 크게는 남과 북의 화합이라 볼 수 있겠다”고 말했다.

황정민

남과 북의 이야기를 다룬 만큼 ‘공작’에서는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높은 싱크로율을 자랑하는 모습의 배우 기주봉이 등장한다. 황정민은 영화 속 김정일 국방위원장과의 대면 신 에피소드를 유쾌하게 풀기도 했다. 그는 “대사가 제법 많아 열심히 준비해갔다. 분장 스태프가 외국에서 와서 촬영 기간이 3일 밖에 없었다. 10일 전부터 철저하게 준비를 했는데 너무 많이 틀리는 것이었다”고 전했다. 세트에서 오는 중압감과 실제 김정일 위원장과 비슷하게 분장을 한 기주봉을 보고 말이 떨어지지 않았다고. 황정민은 “이성민 형과 둘이 얼마나 헤맸는지 모른다. 차렷 자세로 대사만 하려니 힘들기도 했다. 묶어 놓은 느낌 같았다”고 말했다. 이어 “다음날 주지훈이 합류해서 우리가 조심하라 했는데 웬걸, 너무 잘하는 것이다. ‘괜찮던데요?’라 하더라. 부러운 녀석이었다”고 말해 웃음을 자아냈다.

황정민이라는 ‘믿고 보는 배우’를 필두로 했지만 ‘공작’의 개봉 시기는 극장 최고 성수기로 꼽히는 8월이다. 흥행 대전 속 ‘공작’만의 차별점이 있다면 어떤 것일까. 황정민은 “관객 분들은 실화를 좋아하시고, 황정민을 좋아하시지 않나. 이거 욕먹는 것 아닌가(웃음)”라고 농담을 건네며 “좋은 시기에 제 영화가 개봉한다는 것은 감사하고 복 받은 일이다. 손익분기점을 일단 넘긴다면 좋을 것 같고 더 잘 됐으면 좋겠다. 어떻게 될지는 잘 모르겠지만 작품을 선택한 이유 중 하나는 관객 분들께 이 이야기를 알려주고 싶었다. 알아주시는 것만으로도 좋다”고 전했다.

true@sportsseoul.com

사진 | CJ엔터테인먼트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