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공동구 자료사진
(자료사진) 평촌 공동구와 관련 없다.

[안양=스포츠서울 좌승훈 기자]경기 안양시 평촌 공동구 정밀안전진단 용역이 최근 마무리됐다.

그런데 5년 전 보수공사가 필요하다고 평가 받았던 부분(NG)이 어찌된 영문인지 그 어떤 조치가 없었는데도 양호(OK) 평가를 받으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공동구는 도시계획시설 중 하나로, 전기, 통신, 상수도 시설 등을 도로 지하에 설치해 관리하는 시설물이다.

평촌 신도시 조성과 함께 지난 1993년 완공된 평촌 공동구는 10㎞에 이르는 구간에 안양시의 상수시설과 한전 전력시설, KT의 통신시설이 매설돼 있다.

관리 주체는 해당 지자체인 안양시다. 시는 동안구청에 공동구관리팀을 조직하고 1일 수시 점검과 5년 주기로 정밀안전진단 용역을 실시하며 관리에 나서고 있다.

지난 2016년 안전진단 용역 결과서는 14개 구간에서 7가지 (내부벽체 4, 외부벽체 2, 슬래브1)부분에 보수공사가 필요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당시 시는 보수공사에 필요한 사업비로 80억원을 예상했다.

시는 이를 토대로 공사비의 33.3%를 각각 부담해야하는 점용자(사용자)인 한전, KT측과 협의를 벌였고 “한꺼번에 사업비를 투입해 보수하는 것은 부담이 된다며 시간을 두고 조금씩 공사키로 협의를 마쳤다”고 그 당시 관계자는 회고했다,

하지만 공사는 결국 이뤄지지 않았다. 2017년 7월 내진설계기준이 변경됐고 이를 적용한 보수공사 방향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담당자가 바뀌는 등 보수 계획은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다.

5년의 시간이 흐른 올해 안양시는 공동구 관리기준에 따라 안전진단 용역을 실시했고 결과가 나왔다.

그런데 결과는 일반적인 생각과 판단을 벗어났다. 2016년 용역에서 보수가 필요하다는 7가지 부분 중 2가지(내부벽체2)를 제외한 5가지가 양호(OK)하다고 진단된 것이다.

이에 대해 용역을 맡았던 회사 담당자는 “국토부가 정한 응답수정계수를 적용했고, 시설물을 3으로 나눠 기준에 못 미치는 내부벽체 2가지에 대해서만 NG를 내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공동구 코너 부분 보다는 중간 부분이 지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2016년 결과와 다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진단은 맞는 것일까? 일부 공동구 관리 전문가들은 잘못된 방향을 잡은 것 같다고 평가했다.

지난 2018년 내진설계 기준이 개정됐는데 , 개정 전에는 ‘붕괴방지 수준(응답수정계수 적용가능)’ 검토 하나였지만, 개정 후 ‘기능수행수준(응답수정계수 적용불가)’이 추가됐다며 기준 강화를 예로 들었다.

국토부와 한국시설안전공단이 마련한 공동구 내진성능 평가 요령에 따르면 ‘기능수행수준’은 성능평가용 지진하중 작용 시 전기.통신.가스.수도 등 공동구 수용시설물의 기능이 유지돼야 하며, 구조물의 부분적인 피해를 허용하는 성능 수준으로 명시돼 있다,

다시 말해 전문적인 평가영역인 응답수정계수를 적용하지 말고 보다 면밀하게 안전 부문을 강화하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들은“지진이 발생할 경우 모든 시설물은 좌우로 움직 인다”며 “올해 용역을 맡은 회사가 주장하는 공동구 중간 부분보다는 코너쪽에 비중을 두고 평가를 하는 게 옳다”는 견해를 내놓았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시가 용역을 직접 한 것이 아니라 7500만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전문 회사에 용역을 의뢰했고 결과를 받았기 때문에, 이를 토대로 NG난 부분에 대한 사업비만 올해 편성해 내년 공사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반대 의견을 일축했다.

1.평촌 공동구로 연결된 입구
평촌 공동구로 들어가는 문

좌승훈기자 hoonjs@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