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서울 김윤경 기자] 일 할 능력이 있는데도 일 할 의지가 없어 ‘그냥 쉬는’ 비경제 활동 인구가 역대 최고점을 찍었다.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자영업자 등 비임금 근로자 수도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3년 연속 하락했다. 정부가 ‘실업률이 역대 최저’라고 자랑하고 있지만 실상은 고용시장 한파가 계속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5일 통계청이 발표한 ‘비임금근로 및 비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비경제활동인구는 1633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5만8000명 늘었다.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99년 이후 사상 최고치다. 비경제활동인구는 만 15세 이상의 생산 활동을 포기한 전업주부, 연로자, 취업준비생, 진학 준비자, 구직 포기자 등을 가리킨다.
이들 중 가사나 학업 등을 하며 특별한 이유 없이 ‘쉬었음’이라고 답한 인구는 217만3000명에 달했다. 지난해 같은 달 182만4000명 보다 30만명 넘게 늘어 통계 작성 이후 동월 기준 최고치를 기록했다.
구직을 포기한 이들이 비경제활동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3.3%로 역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고용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아예 구직활동 자체를 포기하는 이들이 급증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쉬었다’고 답한 이유는 △몸이 좋지 않아서(41.7%), △원하는 일자리나 일거리를 찾기 어려워서(16.9%), △퇴사 및 정년퇴직 후 계속 쉬고 있음(16.3%) 순이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다음 일 준비를 위해 쉬고 있음(1.6%포인트 증가), △직장의 휴업·폐업으로 쉬고 있음(0.7%포인트 증가), △일자리가 없어서(0.4%포인트 증가) 등의 이유가 증가했다.
비경제활동 인구 중 향후 1년 이내 취업·창업을 희망자하는 이들은 20.9%로 작년보다 4.2%포인트 증가했다. 이유는 생활비·용돈 마련이 70.8%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들이 임금 근로 취업 시 주로 고려하는 사항은 근무여건(27.9%)이었으며, 창업 시 고려 사항은 수입(48.1%)이 가장 크게 차지했다. 취업 월평균 희망 임금은 200만~300만원(40.7%)으로 집계됐다.
이날 통계에 따르면 비임금 근로자는 679만9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6만2000명 줄었다. 비임금근로자는 다른 이로부터 임금을 받지 않는 자영업자나 무급 가족 봉사자를 뜻한다.
이들 비임금 근로자는 2007년 757만5000명을 기록, 2017년 689만8000명으로 줄더니 이후 3년 연속 하락세를 보이다가 올해 13년 만에 역대 최저치를 찍었다. 취업자 중 비임금 근로자 비중도 지난해보다 0.7%포인트 하락한 24.8%를 기록했다.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11만6000명(7.0%) 감소한 반면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9만7000명(2.4%) 증가했다. 무급 가족 봉사자는 4만3000명(3.7%)으로 줄었다.
전문가들은 “경기 부진으로 일자리를 찾지 못한 근로자들이 자영업으로 몰리면서 과다 경쟁이 발생했고, 최저임금 인상 등 부담이 겹치면서 이 같은 수치가 나타난 것이다”고 분석했다.
이에 대해 기재부는 “비경제활동인구가 다소 늘었지만 3대 고용지표 호조세와 특성지표 등을 고려하면 최근 고용시장 활력 강화를 시사한다. 통계에서는 ‘쉬었다’고 답변한 이들이 늘었지만 3분기 들어 감소세로 전환했다”며 “자영업자 경영 여건 개선 및 경쟁력 강화를 지속 추진하는 한편 일자리 창출의 주역인 민간의 경제 활력 향상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socool@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