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찬병원_보도자료 이미지_바른키성장을 위한 바른생활습관

[스포츠서울 | 황철훈기자] 새 학기가 시작되면 어린 자녀를 둔 부모들은 늘 걱정이 앞선다. 새로운 환경에서 잘 적응할지 노심초사다. 특히나 유난히 키가 작고 왜소한 아이를 둔 부모일수록 걱정은 더 커진다. 혹여 큰 아이들에 치여 상처받을까 걱정하는 부모들이 많다. 아이가 또래보다 유난히 작다면 먼저 성장을 저해하는 원인을 찾는 게 우선이다. 원인을 정확히 알고 대처해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니 말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저신장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 수는 2016년 2만9061명에서 2021년 4만3618명으로 5년 사이에 약 50%나 증가했다.

인천힘찬종합병원 바른성장클리닉 박혜영 이사장은 “성장기에는 체질, 질병, 환경 요인 등 다양한 원인이 성장을 방해할 수 있다”며 “자녀의 골연령과 성장 가능성 여부를 종합적으로 확인해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급격한 성장이 이뤄줘야 하는 소아청소년기에 규칙적인 운동, 적절한 영양섭취, 충분한 수면 등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후천적 요인들에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일반적으로 키는 태아기부터 2세까지 급성장하다가 2세부터 사춘기 전까지는 1년에 4~6㎝ 정도로 서서히 성장한다. 이후 사춘기에서 15~16세에 다시 급격히 성장하다가 점차 성장 속도가 감소한다. 보통 같은 연령·성별에서 100명 중 3번째 미만이면 저신장으로 본다. 또한 또래에 비해 10㎝ 이상 작거나 3~10세의 어린이가 1년에 4㎝ 이상 자라지 않는다면 성장장애를 의심해 볼 수 있다.

저신장의 70~80%는 유전적인 성향 또는 체질적인 문제가 원인이다. 나머지는 골격계 또는 염색체 이상, 선천성 대사 이상, 내분비 질환 등이 원인이다. 성조숙증도 키 성장을 방해하는 요인이다. 어린 나이에 이차성징이 빨리 나타나면 또래에 비해 성장판이 일찍 닫히기 때문이다.

먼저 자녀의 성장장애가 선천적인 이유 때문인지 아니면 외부 환경적 원인 때문인지를 정확히 감별해야 한다. 성장클리닉에서는 방사선 검사와 혈액 검사를 바탕으로 골연령과 성장 가능성 여부, 영양상태, 수면 시간, 호르몬 결핍, 성장판 손상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다. 골연령은 뼈의 성숙도를 나타내는 지표다. 이를 토대로 발육상태를 판별하고 종합적인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의가 치료 여부를 결정한다.

저신장 원인이 성장호르몬 결핍증이나 터너증후군, 만성 신부전증 등 때문이라면 성장호르몬 투여를 고려해 볼 수 있다. 특별한 원인을 찾지 못했을 때도 마찬가지다. 다만 특별한 질환으로 인해 성장호르몬이 결핍된 아이가 아닐 경우 성장호르몬 주사는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만약 성조숙증이 원인이라면 성조숙증을 유발할 수 있는 비만, 환경호르몬, 스트레스, 수면 부족 등의 요인을 먼저 개선해야 한다. 또 상황에 따라 성호르몬 억제제를 이용해 사춘기 지연 치료를 할 수 있다. 사춘기 발달을 정상 범위에 맞춰 더 오랜 기간 키가 자랄 수 있게 해주는 방법이다.

바른 키 성장을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 습관도 매우 중요하다. 균형있는 식단으로 적정 몸무게를 유지해야 한다. 특히 당류나 트랜스지방이 많이 함유된 간식류, 포화지방이 많은 가공육 섭취를 줄이고, 칼슘이 풍부한 유제품과 비타민D를 잘 챙겨야 한다.

수면도 중요한 성장 요인이다. 성장호르몬은 하루 분비량의 2/3가 잠자는 동안 분비되고, 특히 숙면 시에 많이 분비된다. 숙면을 취하기 위해서는 잠자기 전 격렬한 운동이나 과식을 피하고, TV 시청이나 스마트폰 이용을 삼가야 한다.

규칙적인 운동은 성장판에 자극을 줘 키 성장에 도움이 된다. 특히 빨리 걷기, 수영 등 유산소 운동이나 줄넘기나 농구, 배구 등 뼈를 강화하는 운동이 좋다.

color@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