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서울] 허리 통증과 함께 양측 엉치 부위 통증이 느껴지고 양다리에 방사 통증과 저린 증상이 나타난다면 척추협착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원인은 척수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 신경근관, 추간공 등이 좁아져 신경이 눌리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요통과 하지 통증 같은 다양한 증세가 나타난다.
특히 협착증은 디스크와 달리 오래 서 있거나 걸을 때 엉덩이와 종아리, 허벅지 부위 뒤쪽으로 통증이 심해진다. 이 때문에 오래 걷지 못하고 걷다가 쉬기를 반복하는 일명 ‘신경학적 파행성 보행 증상’을 보이거나 양 종아리와 허벅지에 시리고 저린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척추에서 시작된 신경병증성 통증은 주로 말초신경 경로를 따라 다리 통증으로 나타난다. 이에 따라 허리와 다리 통증이 심해질 경우 노년기의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학계의 통계에 의하면, 척추협착증이 있는 환자들은 통증이 심해서 수면 장애와 우울증 유발률도 상당히 높은 편이다.
허리와 엉덩이, 다리의 통증이 심할 경우 ‘신경 차단술’이나 ‘척추 자극술’ 등의 시술과 항경련제 계통의 약물치료를 시도해 볼 수 있다. 만약 이런 시도에도 효과가 없을 때는 손상된 신경 부위에 전기자극을 가해 통증을 완화하는 전기자극 치료를 시행해 볼 수 있다.
고전압의 미세전류를 환부에 흘려보내는 엘큐어리젠 전기자극 치료는 손상된 신경세포를 자극해 재생을 촉진하고, 세포 사이의 림프슬러지(림프액 찌꺼기)를 녹여 배출시켜 통증을 개선한다.
특히 평소에 규칙적인 운동으로 근육을 강화해 척추를 지지하는 힘을 길러두면 신경병성 통증을 이기는 데 큰 도움이 된다. 흔히 척추협착증 환자들은 움직이는 것조차 힘들 때가 많아서 운동을 소홀하게 된다.
하지만 스트레칭과 근력강화운동을 꾸준히 해주면 신경 손상을 회복할 수 있으며 걷기, 자전거 타기, 수영 등 유산소 운동도 중추 감각에 작용하는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조절해 줘 통증을 줄이는 데 효과가 있다. 다만 과도한 운동은 허리통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니, 몸 상태를 보면서 천천히 강도를 늘리는 것을 권장한다.
<연세에스의원 심영기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