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철비

[스포츠서울 정하은기자]3년 만에 돌아온 ‘강철비’는 더욱 냉철하고 묵직한 물음들을 관객들에게 던졌다.

한반도의 운명은 누가 결정지을까. 결국 ‘강철비2: 정상회담’이 던지는 질문은 이것이다. 안타깝게도, 분단을 우리가 한 것이 아니기에 분단의 해체 역시 우리 손으로 할 수 없는 현실을 이 영화는 남북미 세 정상의 가감 없는 대사를 통해 비집고 파고든다. 앞서 기자간담회에서 “리얼해서 더 슬프다”는 양우석 감독과 분단의 현실을 생각하며 울컥하기도 한 정우성의 모습은 영화를 보고 난 뒤에도 이 같은 상황이 영화가 아닌 현실임을 자각하게 만든다.

남북미 정상회담 중 북한 내 쿠데타로 세 장상이 납치되며 이 영화는 시작된다. 북미 평화협정을 위한 대한민국 대통령(정우성 분), 북한의 최고 지도자인 위원장(유연석 분)과 미국 대통령(앵거스 맥페이든)간의 남북미 정상회담이 북한 원산에서 열린다. 그러던 중 여러 이해관계로 핵무기 포기와 평화체제수립에 반발하는 북 호위총국장(곽도원 분)로 인해 쿠데타가 발생하고 납치된 세 정상은 북한 핵잠수함에 인질로 갇힌다. 그렇게 좁디좁은 함장실 안에서 예기치 못한 정상회담이 시작된다.

‘남북관계’란 소재를 리얼리티와 판타지로 버무리면서 흡입력을 높이는 양우석 감독의 강점은 이번에도 유효했다. 영화 초반 한반도 냉전체제를 둘러싼 복잡한 국제정세가 꽤나 상세히 그려진다. 북한 내 쿠데타가 ‘강철비1’에서는 북한 내부 강경파의 단독 결정이었다면 ‘강철비2’에서는 중국, 일본과 뒤얽혀 일어난 정변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중국이 패권국가로 부상하며 심화된 미중 갈등과 그 속에 휘말린 한반도를 전편보다 확장된 문제의식으로 다룬 지점이다. 리얼한 국제정세로 시작해 평화협정으로 가는 후반부 이야기들은 판타지적이다.

강철비

핵잠수함이라는 좁은 공간에서 주는 긴장감과 몰입도도 상당하다. 이견이 좁혀질 기미가 보이지 않던 세 정상은 빠져나갈 곳도 없는 극한의 공간에서 미처 회담장에선 알지 못했던 서로의 인간적인 면모를 드러낸다. 거대담론이 아닌 누울 자리, 흡연, 식사 등 사소한 걸로 부딪히는 세 정상을 통해 소소하게 터지는 유머들도 또 다른 관전포인트다.

여기에 어뢰, 핵잠수함 등의 스케일감 있는 수중 액션은 초반의 정적인 분위기를 순식간에 역동적으로 바꾸며 보는 재미를 더한다. 영화의 중후반부부터 본격적으로 이어지는 잠수함 내부 액션과 잠수함 외부에서 어뢰가 오가는 박진감 넘치는 수중전은 꼼꼼한 자문과 고증, 그리고 잠수함 세트에 양 감독이 왜 그렇게 공을 들였는지 고개를 끄덕이게 만든다.

정우성, 곽도원, 유연석 등 주연배우들의 연기력도 기대치를 해낸다. 특히 나설 수도 가만히 있을 수도 없는 대한민국의 현실을 영화는 정우성의 대사와 표정들을 통해 주로 설명하며 국가 지도자지만, 남북문제를 바라보는 ‘우리’의 모습이 자연스럽게 투영되도록 만든다. 자기 주장을 펼치기 바쁜 양극단의 북한과 미국 정상 사이에서 중재자 노릇을 하느라 애쓰는 대한민국 대통령의 다양한 감정들을 자연스럽게 따라가게 되고, 그 끝엔 먹먹함과 여운이 남는다.

강철비

영화를 보고 난 뒤 이들 못지않게 잔상이 남는 인물은 배우 신정근이다. 북 핵잠수함 백두호의 부함장 장기석을 연기한 신정근은 정우성과 함께 ‘휴머니즘’을 담당하며 영화 중후반부를 책임진다. 분단물에서 빼놓을 수 없는 남과 북 사이의 연대감은 영화의 클리셰로 비춰지기도 하지만, 날것 같은 신정근의 연기력이 이를 유화시키며 극 후반부를 든든하게 책임진다.

다만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나 정치 이야기에 관심 없는 관객들까지 끌어들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한반도 역사 속 다양한 사건들이 대사로 스치듯 지나가 상황을 즉각적으로 이해하기에 다소 무리가 있을 수 있다. 오는 29일 개봉.

jayee212@sportsseoul.com

사진 | 롯데엔터테인먼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