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서울 남혜연기자]“사실 영화도 영화지만… 비가 너무 많이 와서 걱정이 됩니다.”
양우석 감독의 마음에 여러가지 감정이 교차한 듯 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그리고 사상 초유의 장마까지 더한 극장가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최근 급격히 경색된 남북관계 속 개봉한 ‘강철비2:정상회담’(이하 강철비2)는 한반도의 상황을 정공법으로 들여다본 문제작이기도 하다. 양우석 감독은 “이렇게 비가 오래 내린 적은 없는데… 지금 이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수해 피해 지역 복구 등인 것 같다. 더 많은 피해가 없었으면 좋겠는게 가장 큰 바람”이라고 차분히 말했다.
그 어느 때 보다 올 여름 극장가는 힘들었다. 개봉작을 선보이는 것 역시 쉽지는 않았다. 또한 양우석 감독의 영화는 ‘변호인’(2013년)부터 시작해 ‘강철비’(2017년) 그리고 이번 ‘강철비2:정상회담’까지 현실감 있는 내용과 특별한 메시지들이 있었던 만큼 궁금증은 더했다. ‘강철비2’는 남북미 정상회담 중에 북의 쿠데타로 세 정상이 북의 핵잠수함에 납치된 후 벌어지는 전쟁 직전의 위기 상황을 그렸다. 대한민국 대통령에 정우성이, 북 위원장에 유연석이 캐스팅됐다. 무엇보다 남과 북을 대표하는 인물에 정우성과 유연석이라니. 어색하고 이상했다. 싱크로율이 너무 맞아 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양 감독 역시 이에 대한 설명을 계속해야했다.
양우석 감독은 “유연석 배우 역시 제안을 했을 때 ‘이 역할은 (곽)도원이 형이 해야하지 않아요?’라고 했다. 싱크로율을 깨려고 캐스팅을 했다. 배우들의 연기에 만족을 한다”고 웃으면서 “남북미 세 정상이 만났을 때 삼형제같은 모습이였으면 했다. 정우성이 인내심 많은 둘째 형이라면, 막내 유연석은 귀여운 동생 같은 이미지였다. 적중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양우석 감독의 의도는 그랬다. 영화를 봐야 아는 것들이지만, ‘강철비2’에는 정우성이 나오는 화면이 90% 이상 차지한다. 모든 인물의 연결 고리이자, 가장 많은 촬영을 해야했다. 정우성의 깊은 눈빛이 시나리오를 쓸 때부터 아른거렸지만, 현장에서 사람들을 아우르고 체력도 있어야 하며 스타성이 있는 배우는 정우성이 유일했다. 또한 북한에 대한 시선도 유연석을 선택하는 데 한 몫을 했다.
그는 “평화 모드로 갈 때는 간쓸개 다 내주지만, 반대에선 다른 상황에 직면한다. 간극이 너무 컸고, 한가지의 모습으로 규정짓기에는 너무나 다양하다. 그래서 내린 결론이 ‘지킬앤 하이드’였다. 전혀 다른 인물, 유연석씨를 캐스팅했고 적중한것 같다”며 만족감을 보였다.
|
입봉작인 ‘변호인’에서 1000만 관객이라는 성과를 낸 까닭에 양우석 감독은 시작부터 ‘흥행감독’이라는 타이틀이 붙었다. 동시에 이 작품을 찍고 나서 블랙리스트에도 올랐다. 양 감독은 ‘압박을 받아 다음 영화는 못찍을 줄 알았다’며 이제야 웃으며 얘기를 하지만, 이후 두 편의 영화가 세상밖에 나오기 까지 쉽지는 않았다. 그러한 까닭에 그는 입봉 작품에 보내준 관객들의 응원과 함께 영화를 통해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는 ‘강철비’ 시리즈에 대해 만족감을 보였다.
“경영계 최대 화두는 시뮬레이션 능력의 극대화라고 들었다. 미국이 9·11테러가 터진 다음에 제일 먼저 반성한 점이 ‘정부 예산으로 몇백억 달러를 쓰는 우리는 왜 테러리스트의 상상력을 따라가지 못했느냐’는 점이었다. 바로 상상력이 국력이라는 점이다. ‘강철비’ 역시 마찬가지다. 사실 내용으로 보면 판타지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을 시뮬레이션을 해보고 이후의 상황에 대비를 하자는 게 저의 생각이다.”
양우석 감독은 “나는 제일 필요한 이야기를 한다”고 했다. ‘변호인’이 시작이었고, 북한과의 관계 및 핵전쟁에 대해 ‘만약’이라는 가정하에 관객들에게 일종의 ‘이러한 상황이 올수도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싶었단다. 때문에 그의 다음 이야기가 더욱 궁금해졌는데, 역시나 ‘양우석 스러운’ 현실과 판타지가 공존하는 얘기일 것 같다.
양 감독은 “코로나19 같은 사태가 갑자기 벌어졌을 때, 기업의 존망이 결정될 수 있었다. 개인이 미리 유서를 써보는 것도 시뮬레이션의 일종이다”면서 “제 다음 영화는 가족 이야기”라고 못박았다. 그러면서 “30~40년 새 대한민국 연간 출생아가 4분의 1로 줄었다. 그 위험성이 무엇인지 이야기해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가족에 대한 고찰과 아이에게 어른은 무엇일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무엇보다 영화는 가상이라고 해도 돌려서 어느정도의 결론을 내주지 않나. 70대 할아버지와 30대 40대 그리고 10대의 이야기가 주를 이룰것 같다”고 설명했다.
남혜연기자 whice1@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