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서울 | 정하은기자] 스타의 겸손함이 언제부터 비난받을 일이 됐을까.

‘비판’(批判)과 ‘비난’(非難)은 엄연히 다르다. 옳고 그름을 판단해 지적하는 정당한 ‘비판’은 존중받아 마땅하지만, 공연한 책을 잡아 상처만 남기고 분노만 부추기는 건 비판이 아닌 ‘비난’일 뿐이다.

시인이자 대중문화평론가 김갑수가 또 구설에 올랐다. 이번엔 다른 여배우와 비교하며 배우 박은빈의 수상 태도를 지적해 논란이 됐다. 박은빈은 지난달 28일 열린 제59회 백상예술대상에서 TV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1996년 만 4세에 아동복 모델로 데뷔한지 27년만에 이룬 감격의 수상이었다. 박은빈은 지난해 방송된 ENA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서 자폐스펙트럼을 가진 변호사 우영우를 통해 차곡차곡 쌓아온 연기 내공을 폭발했다.

회사 1층 회전문부터 일상의 소음, 사람들과 눈을 맞추고 대화하는 아주 사소한 일조차 ‘도전’인 세상에서 ‘외뿔고래’ 처럼 유영하는 우영우의 모습을 생생하게 그려내며 박은빈은 수많은 이들에게 큰 감동을 안겼고, 넷플릭스를 타고 글로벌에도 ‘우영우 신드롬’을 일으켰다.

하지만, 박은빈의 감동의 수상에 뜻밖의 불청객이 등장했다. 김갑수는 지난 1일 유튜브 채널 ‘정영진 최욱의 매불쇼’에서 박은빈을 언급하며 “대상을 받은 박은빈 씨는 훌륭한 배우고 앞으로도 잘할 거다. 근데 울고 불고 코흘리면서. 시상식이 아니라 어떠한 경우에도 타인 앞에서 감정을 격발해서는 안 되는 거다”라고 훈계(?)했다.

김갑수는 박은빈이 TV부문 대상으로 호명된 뒤 무대에 나오기까지 30번 이상 주위 사람들에게 인사를 했다며 “모든 시상자가 절을 정말 수없이 한다. 가볍게 한 번 인사 할 수 있지 않나. 과거엔 안 그랬다. 언제부터인가 꾸벅꾸벅하는 게 심화가 됐다”라고 비평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시상식 태도와 관련해 배우 탕웨이와 송혜교를 모범적인 사례로 꼽으며 “품격이라는 게 있어야 한다. 18세도 아니고 서른이나 먹었으면 송혜교씨한테 배워라”라고 박은빈에게 일침을 가하기도 했다.

여러 사람에게 감사를 전하는 한국식 수상소감을 비판하고 싶었던 것으로 보이나 그 근거가 빈약했다. 박은빈에게 “(태도를) 배우라”며 비교 대상으로 언급한 송혜교는 오히려 이날 넷플릭스 ‘더 글로리’로 TV부문 최우수상 수상 후 “감사하다”는 인사를 박은빈보다 더 많이 했다.

또한 그의 표현대로 “꾸벅꾸벅 인사하고, 눈물과 콧물을 흘리는 행위”가 대상 배우로서 품위를 잃는 행위라는 말도 납득하기 어렵다. 배우로서 평생의 꿈이었던 대상 트로피를 처음으로 거머쥔 박은빈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소신껏 이야기했고, 많은 감동을 안겼다.

품위와 겸손함을 잃지 않은 그의 수상소감을 담은 영상은 3일 현재 조회수 500만회를 넘겼고 만개가 넘는 댓글에는 칭찬과 응원의 말이 수두룩하다. 아역배우로 시작해 톱배우로 우뚝 선 박은빈의 성장사에 많은 이들이 공감했고 감동받았기 때문이다.

이때문에 누군가의 진심어린 소감을 두고 품격을 운운하는 것이 오히려 무례한 발언이라는 누리꾼들의 질타가 빗발치고 있다.

김갑수는 대중문화평론가다. 이름 그대로 대중문화의 흐름을 읽고, 자신의 생각을 밝히는 사람이다. 그의 생각과 시각이 반드시 여론과 같을 필요는 없지만, 적어도 평론가라면 그 의견에는 공감할 만한 철학과 시각이 담겨 있어야 하고 다른 시각을 가진 이들조차 고개를 끄덕일 수는 있는 설득력이 있어야 한다.

아무리 개인의 의견이라 하더라도 수많은 청중 앞에서 방송을 하는 이라면 그 말의 무게 역시 알아야 한다. 단순 말실수로 치부하기에도 무리가 있다. 김갑수의 발언이 논란이 된 게 이번이 처음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는 최근 MBN ‘불타는 트롯맨’에 출연했다가 ‘학교 폭력’ ‘폭행 전과’ 등으로 자진 하차한 황영웅에 대해 “잘못 산 걸 노래로 부르고, 괴롭힌 애들 찾아가 보상해주고 살면 안 되나”, “사회활동을 못 할 정도의 악행을 저지른 수준인가” 등 피해자들의 입장은 고려하지 않은 채 가해자를 옹호하는 발언으로 거센 질타를 받았다.

또 앞서 뉴진스의 곡 ‘쿠키’(Cookie)의 가사가 선정성 논란을 빚자 “성적 환상을 주는 게 나쁜 거냐”며 “롤리타(소아성애)도 반드시 나쁜 것만은 아니다. 대중문화 상품은 여러 형태의 성적 환상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발언해 도마에 오르기도 했다.

세상이 달라지는 데 한몫을 하겠다는 거창한 꿈은 없었지만 작품을 하면서 적어도 이전보다 친절한 마음을 품을 수 있기를, 전보다 각자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들을 다름으로 인식하지 않고 다채로움으로 인식하길 바라면서 연기했다.

-박은빈의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대상 수상소감 중-

드라마에서 자폐 스펙트럼을 가진 변호사를 연기한 박은빈은 수상소감에서 이같이 말했다. 감정이 북받쳐 중간중간 눈물을 훔치기도 했지만, 7분 가량 차분하게 이어간 그의 수상소감은 장애를 가진 캐릭터를 연기하며 얼마나 많은 고민과 책임감, 그리고 배우로서 성장이 있었는지 여실히 느낄 수 있었다. 이를 들은 수많은 선후배 배우들과 스태프들은 박수를 보냈고, 일부는 함께 눈시울을 붉히기도 했다.

시상식의 감동은 트로피의 무게보다 수상자의 진정성을 담은 소감이 청중의 마음에 와닿았을 때 빛을 발한다. 박은빈의 감동적인 소감은 많은 이들에게 공감을 안겼다. 오히려 ‘품격’을 잃은 발언으로 타인에게 불편함을 안긴 건 김갑수가 아닐까.

jayee212@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