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서울 | 홍성효기자] 고관절 골절 환자 중 근감소증이 동반된 환자의 경우 사망률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서울부민병원 하용찬 진료부원장과 공동연구팀은 ‘고관절 골절에 의한 노인환자의 근감소증 유병률 및 사망률 관계(Prevalence of sarcopenia and mortality rate in older adults with hip fracture)‘ 관련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의 환자중심의료기술 최적화 연구 사업단의 지원으로 시행됐다.
연구팀은 평균 연령 77.9세인 고관절 골절 환자 1003명을 대상으로 근감소증의 진단방법으로 사용되는 기준으로 키, 몸무게, 체질량지수로 판단하는 3가지 모델 중 근감소증의 예후를 가장 잘 판단 할 수 있는 진단방법을 조사했다. 각각 3가지 기준에 의해 나누는 근감소증을 동시에 가진 환자의 유병율을 조사하고, 1년 / 2년 / 5년 사망률과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근감소증의 진단은 아시아인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진행됐다.
이중에너지 엑스레이 측정을 통해 골격근량(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이하 ASM)을 측정하고 악력 측정을 시행해 근력을 평가했다. 또 ASM 기준 흡광도 측정을 통해 세 가지 지표를(ASM/키의 제곱, ASM/체중, ASM/체질량 지수) 계산해 근감소증으로 진단했다. 사망률은 수술 후 1년, 2년, 5년 뒤 평가했다. 이에 1003명(남자 243명, 여자 760명)의 고관절 골절 환자를 1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여자 8%(60명), 남자 17.3%(42명), 5년을 추적 관찰한 결과 여자 24.3%(185명), 남자 33.7%(82명)가 사망했다.
3가지 진단기준에 따른 근감소증의 유병율과 사망률의 차이가 있었지만, 사지 근육량을 키의 제곱으로 나누는 방법에서 근감소증이 없는 환자와 비교 했을 때 1년 사망률 (남자 24% vs 0%, 여자 10 % vs 5%, p<0.05), 2년 사망률 (남자 28% vs 4%, 여자 18 % vs 5%, p<0.05) , 5년 사망률 (남자 44% vs 4%, 여자 35 % vs 9%, p<0.05)이 유의하게 근감소증 환자군에서 남녀 모두 높게 나타났다.
하용찬 서울부민병원 부원장은 “이번 연구는 고관절 골절 환자에서 근감소증과 사망률의 관계에 대한 연구로, 고관절 골절 환자의 골근감소증 유병율이 높고, 장기예후가 불량하다는 것을 임상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1년, 2년, 5년 사망률이 근감소증이 없는 환자의 사망률에 비해 높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shhong0820@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