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축구 K리그가 ‘불혹(不惑)’의 40주년을 맞았다. 출범 원년인 1983년 5개 팀으로 출발해 여러 차례 진화를 거친 K리그는 2023년 1,2부 25개 구단 체제의 거대 시장으로 변모했다. 아시아 챔피언스리그 최다 우승(10회)을 차지한 리그이기도 하다. 수치로 보는 K리그의 대외 경쟁력은 지속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열악한 축구 산업 환경 속에서 기업구단은 갈수록 투자 규모를 줄이고 있고, 시도민구단은 정치적 희생양이 되고 있다. 관중 동원력이 떨어지는 팀도 즐비해 ‘그들만의 리그’에서 완벽하게 벗어나지 못했다. 스포츠서울은 4회에 걸쳐 마흔 살이 된 K리그의 현실을 짚어보고,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제언을 담아보고자 한다.<편집자주>
210227221152
제공 | 프로축구연맹

[스포츠서울 | 강예진기자] 기록의 시대, 나눌수록 더 의미 있다.

스포츠와 기록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축구는 흔히 말하는 ‘기록의 스포츠’라고 할 수는 없지만, 기록이 해당 종목의 역사를 보여주기도, 한 선수의 프로 일생을 대변해주는 것만큼은 확실하다. 그만큼 기록 하나에 담긴 의미는 크고 넓다. 기록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이유다.

40주년 고지를 밟은 K리그에서, 한국프로축구연맹의 기록 표기에는 아쉬움이 남는다. 연맹은 선수 개개인의 시즌별 경기 출전 횟수와 득점, 도움 등을 정리해 기록하고 있다. 연맹 프레스 사이트에는 승강제 전과 후, 1부와 2부의 기록을 구분해 표기해뒀지만, 20(골)-20(도움)클럽, 통산 골 등 한 선수의 의미 있는 하나의 ‘기록’의 발자취를 남길 때면 1부와 2부를 구분하지 않는다.

K리그는 2013년 처음으로 승강제를 도입했다. 1부와 2부가 분리된 지 1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지만, 1부와 2부의 기록을 합산해 집계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염기훈(수원 삼성)의 80-80 클럽 가입이다. 염기훈은 K리그 통산 442경기서 77골110도움을 기록 중인데 3골만 더하면 K리그 최초 80-80 클럽에 가입하게 된다. 다만 온전한 1부 기록이 아닌 2013년 2부 경찰청 소속으로 7골11도움이 포함된 수치다.

f36012
제공 | 프로축구연맹

통산 출전 기록도 그렇다. 지난해 김영광(성남FC)이 93경기에 나서면서 통산 출전 2위(588회)에 올라 이동국(548회·은퇴)를 제쳤다. 하지만 김영광은 183경기가 2부에서 뛴 횟수다. 기록은 희소성이 있기에 의미가 값진데, 현재 연맹이 기록을 산정하는 기준의 객관성엔 아쉬운 목소리가 따른다.

‘프로축구’라는 하나의 바운더리 안에 있는 건 사실이지만, 1부와 2부는 엄연히 다르다. 1부는 한 나라의 ‘최상위리그’다. 1부와 2부는 당연히 목표와 지향점이 다르다.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 등 다수 빅리그도 1,2부 기록을 별도로 책정한다.

A구단 한 관계자는 “어느 것이 좋고 나쁘다는 것에 명확하게 답변을 내릴 수 없지만, 확실한 건 기록을 이원화해야 한다는 점이다. 1부와 2부 그리고 통산 등으로 세분화한다면 좀 더 명확한 기록을 바탕으로 그 선수를 바라볼 듯하다. 세분화한 기록을 기반으로 구단도 팬에게 정확히 알리는 등 마케팅 요소로 다양하게 활용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물론 반대의 목소리도 있다. B구단 관계자는 “1부와 2부는 ‘프로’라는 바운더리에 함께 속한다. 기록을 따로 나누는 건 말그대로 양극화를 두자는 건데,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라며 “프로는 하나로 묶는 게 맞지 않나 싶다”고 했다. 하지만 다수 리그 구성원은 1부든 2부든 선수가 흘린 땀의 가치를 비교할 수 없지만, 의미 있는 것을 더 의미 있게 만들기 위해서는 1부와 2부 기록에 구분을 둬야 한다는 데 공감하고 있다.

f54209
제공 | 프로축구연맹

연맹이 올해부터 신설한 K리그 명예의 전당을 보면 더욱더 쉽게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명예의 전당은 선수, 지도자, 공헌자 3개 부문으로 구성된다. 선수 부문 후보는 K리그 최상위리그(승강제 이전 K리그 및 승강제 이후 1부)를 기준으로 ▲ 300경기 이상 출전 ▲100골 이상 득점 ▲100경기 이상 클린시트 달성 ▲시즌 최다득점 또는 최다도움상 수상 ▲ 시즌 베스트일레븐 수상 ▲시즌 MVP수상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해야 한다. 2부가 아닌 ‘오롯이’ 1부를 기준으로 한다는 점에서 그 상이 지닌 ‘명예’가 조금은 더 올라감을 느낄 수 있다.

연맹 역시 통합 기록 문제를 인지하고 있다. 기록 관련 담당자는 “(통합 기록에 관한) 문제를 인지하고 있고 개선 여부도 검토 중이다. 여러 이해 관계자의 의견을 듣고 취합해, 어떻게 나아갈지 고민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조금 더 명확하고 세밀한 기록이, 선수는 물론 K리그의 가치와 의미를 더 단단하게 만들 수 있다. kkang@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