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대통령’을 뽑는 제42대 대한체육회장 선거가 전례 없는 뜨거운 경쟁 구도로 주목받고 있다. 역대 최다인 6명의 후보가 등록, 다자 구도다. 갈수록 과학화, 산업화하는 체육계는 단순히 체육인뿐 아니라 온 국민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자연스럽게 공정과 상식이라는 사회 트렌드가 반영, 혁신을 넘어 그 이상의 가치를 바라는 목소리가 크다. 그게 이번 체육회장 선거 경쟁률로 반영됐다. 체육회장의 정책과 철학이 향후 한국 체육에 미칠 영향은 더욱더 커질 전망이다. 스포츠서울은 선거를 앞두고 6명의 후보를 만나 대표 정책 공약에 관한 세부적인 비전을 들었다. 2244명의 선거인단은 물론 한국 체육을 사랑하는 모든 이들에게 전하는 최후 출사표도 담았다.<편집자주>

[스포츠서울 | 정다워 기자] 제42대 대한체육회장 선거에 나선 기호 2번 김용주(64) 전 강원도체육회 사무처장은 체육청 설립을 최대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다.

현재 정부에는 국세청, 검찰청, 경찰청, 병무청 등 총 18개의 외청이 존재한다. 체육 분야의 경우 문화체육관광부 산하의 관리를 받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그만큼 중요한 분야로 분류되지는 않는다는 의미다.

김 후보는 “현재 체육계는 굉장한 위기에 놓여 있다. 지금 수준의 정부 지원과 민간 보조를 통한 발전에는 한계가 뚜렷하다”라고 지적하며 “예산, 사업 투자 활성화, 지방 체육 성장 등을 위해서는 체육청 설립이 필요하다. 예산 편성을 더 크게 받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체육의 근간도 바로 세울 수 있다고 본다. 소외된 지방, 학교 체육 기반에도 더 투자할 수 있다”라고 주장했다.

엘리트 체육인(사이클) 출신으로 중앙, 지방 체육을 두루 경험한 김 후보는 “이대로면 머지않은 미래에 전국체전까지 소멸할 수 있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체육청을 설립해 국가에서 더 꼼꼼하게 체육 분야를 책임져야 한다”라면서 “문체부에서 책임지기엔 전문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체육 분야를 세밀하게 아는 전문가가 체육청을 맡아 이끈다면 한국 체육을 확실하게 재건할 수 있다고 본다. 체육 분야도 대충해서는 안 된다. 지금은 체육이 사각지대에 있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최우선으로 체육청을 설립해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선거인단에게…“선거 운동을 해보니 투표하시는 분들에게 미안하더라. 기간이 짧아서 선거 운동에 한계가 있다. 지방에서 오셔야 하는 분에게는 실비 지급도 안 한다. 그냥 와서 하라는 것인데 내가 회장이 되면 선거법부터 공정하게 개정할 생각이다. 서울에서 엘리트 지도자 생활을 했고 강원도에서는 생활 체육 분야를 두루 경험했다. 후보 중 나 정도의 다양한 경력과 실무 경험을 갖춘 인물은 없다고 자부한다. 실무를 책임질 행정형 적임자라는 점을 판단해주시기를 바란다.” weo@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