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현빈. 사진 | 넷플릭스

[스포츠서울 | 원성윤 기자] 배우 신현빈은 대학에서 미술을 전공했다. 한예종(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연기가 아닌 미술이론·예술사를 배웠다. 예술의 맥이 닿아 있어서일까. 미술과 연기를 접목해 캐릭터를 구축해왔다. 이를테면 대본을 읽은 뒤 이미지를 스케치하고 캐릭터에 색을 입히는 식이다. 작품마다 ‘이번에도 얼굴 갈아 끼웠네’라는 극찬을 듣는 것 역시 이런 맥락이다.

신현빈은 서울 중구 앰배서더 서울 풀만 호텔에서 가진 스포츠서울과 인터뷰에서 “미술전공자로서 영화 속에 등장한 ‘아포페니아’ 현상(서로 연관성 없는 대상의 연결)을 흥미롭게 봤다”며 “웹툰에서 구현한 이미지를 바탕으로 일반적이지 않은 형사를 표현하려 무척 많이 고민했던 작품”이라고 설명했다.

영화 ‘계시록’은 실종 사건의 범인을 단죄하는 것이 신의 계시라 믿는 목사 민찬(류준열 분)와 죽은 동생의 환영에 시달리는 실종 사건 담당 형사 연희(신현빈 분)가 각자의 믿음을 쫓으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영화 ‘계시록’ 신현빈. 사진 | 넷플릭스

극 중 ‘아포페니아’는 중요한 기제로 작동한다. 민찬은 자신 앞에 펼쳐지는 자연현상을 신의 계시라 생각하고, 성범죄자 양례는 숨어있던 살인 본능이 꿈틀대기 시작한다.

신현빈이 맡은 연희는 복합적인 감정을 가져야 했다. 이 둘을 단죄하면서도 동생의 죽음을 막지 못했다는 죄책감에 사로잡혀 살아가야 했다.

“마지못해 사는 사람처럼 느껴졌으면 했어요. 메이크업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근깨를 더하면서 푸석하고 거친 질감을 입히려고 했죠.”

당시 로코물 ‘새벽 2시의 신데렐라’ 촬영을 막 끝낸 시점이었다. 사랑스러운 역할을 맡은 직후라 ‘계시록’ 테스트 촬영에서 본 얼굴이 여간 맘에 들지 않아 나온 결정이었다. 기초화장조차 하지 않는 건 배우로서 꽤 큰 도전이었지만 개의치 않았다. 얼굴에 붉은 기가 보이니 “효과가 있다”며 좋아할 정도였다.

신현빈. 사진 | 넷플릭스

‘맡는 캐릭터마다 박복하다’는 질문에 신현빈은 “그게 제 장점일 수도 있다. 사연이 있는 인물을 연기하고, 보는 이들에게 궁금증을 더 줄 수 있어 좋다”며 “작품을 할 때마다 힘들다는 생각보다는 매번 새롭고 재밌다.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의 차이”라며 웃어 보였다.

고비마다 힘이 된 건 현장이었다.

“연기를 하다 보면 막막해지는 순간이 오거든요. 그런 부담감을 덜어내고 갈 수 있는 동료들과 함께하면서 얻게 되는 힘이 있어요. 내가 좀 부족해도 같이 하면서 감정을 만들고 터뜨리면서 시너지가 난다고 생각해요.”

로코, 스릴러 등 장르를 가리지 않는 덕택에 매번 새로운 신현빈을 보는 건 즐겁다. 신현빈은 “장르를 타는 스타일은 아니다. 그 시기에 오는 작품 중에 이끌리는 작품을 한다”면서도 “의도한 건 아닌데 비슷한 역할을 해본 적이 거의 없다. 안 해본 것에 대한 호기심과 궁금증이 있는 것 같다”며 자신을 정의 내렸다. socool@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