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서울 | 표권향 기자] 카카오 CA(Corporate Alignment) 협의체가 13일 그룹협의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CA협의체는 카카오 그룹의 이해관계를 조율하고 컨센서스를 형성하는 독립 기구다.
이날 회의에는 김범수·정신아 공동의장을 비롯해 13개 협약 계열사 CEO(최고 경영자)들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CA협의체는 △신규 투자 집행 및 유치 △지분 매각 △거버넌스 변경 등에 대한 프로세스를 강화해 시행하기로 했다. 협약 계열사는 최종 의사결정 전 CA협의체 각 위원회의 리스크 검토받고, 준법과신뢰위원회 보고를 거친다는 원칙을 수립했다. 이는 사회의 눈높이와 신뢰에 부합하는 성장을 위해 기존보다 안팎 검증과 통제 체제를 한 층 강화한다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함께 CA협의체 아래 △경영쇄신위원회 △전략위원회 △브랜드커뮤니케이션위원회 △ESG(환경·사회·지배구조)위원회 △책임경영위원회를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특수목적의 TF를 운영할 계획이다.
경영쇄신위원회는 기존과 동일하게 김범수 의장이 위원장을 맡아 카카오 그룹 전체의 변화와 혁신을 주도한다. 전략위원회는 정신아 대표 내정자가 맡아 그룹에 직접 영향을 발휘할 수 있는 핵심 현안과 KPI(핵심성과지표), 투자 등을 검토한다.
카카오 그룹의 브랜드 및 메시지 전략 강화를 위해 브랜드커뮤니케이션위원회도 신설한다. 위원장에는 삼성그룹 제일기획 상무, 은행권청년창업재단 디캠프 초대 센터장, 중앙일보 논설위원 등을 역임한 이나리 전 컬리 커뮤니케이션 총괄 부사장을 영입했다.
ESG위원회는 권대열 위원장이 맡는다. ESG위원회는 다양한 이해 관계자 및 사회와 소통하면서 준법과신뢰위원회와 협업한다. 권 위원장은 정기 감사와 컴플라이언스, 윤리, 법무 이슈를 다루는 책임경영위원회 위원장도 당분간 겸임한다.
각 위원회는 영역별로 그룹 차원에서 논의해야 할 아젠다를 발굴하고, 방향성과 정책 관련 의견을 제시할 예정이다. 위원장은 이러한 내용을 참고해 각 협약 계열사에 참고 및 권고 의견을 결정하고, 담당 분야에 대한 그룹 차원의 문제를 해결하고 책임지는 역할을 맡는다. gioia@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