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서울 김민규기자]KT가 올해 3분기 매출 6조 2137억원, 영업이익 3125억원을 기록했다고 8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5%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15.4% 줄어든 수치다. 5G(5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 투자와 마케팅 비용 부담으로 인해 영업이익이 크게 감소했다는 게 KT측의 설명이다.
다만 KT 측은 전 분기와 비교해 반전의 계기를 마련했다고 봤다. 5G 가입자가 100만명을 넘어서며 수익성 확보에 청신호가 켜지면서 지난 2분기에 비해서 영업이익이 8.4% 증가했기 때문이다.
무선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2% 감소했다. 5G 가입자가 늘면서 가입자당평균매출(ARPU)은 3만1912원으로 전분기보다 0.5% 증가하며 2분기 연속 상승했다. KT 5G 가입자는 106만명을 기록했으며, 전체 5G 가입자 중 85% 이상이 5G 완전 무제한 요금제인 ‘슈퍼플랜’을 이용하고 있다.
유선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 감소한 1조1682억원을 기록했다. 유선전화 매출 감소를 기가인터넷 성장이 메우는 추세가 3분기에도 이어졌다. 3분기 기가인터넷 가입자는 535만명으로 전체 초고속인터넷 가입자의 60%를 기록했다.
미디어·콘텐츠 사업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미디어·콘텐츠 사업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8% 증가한 7013억원을 기록했다. IP(인터넷)TV 가입자는 3분기 823만명을 기록, 업계 1위를 지키고 있다. 콘텐츠 사업 매출은 지니뮤직, 나스미디어 등 그룹사 성장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1% 증가했다.
올 3분기 누적 5G CAPEX(투자설비) 비용은 2조952억원으로 전년 대비 89% 증가했다. 11월 현재 KT의 5G 기지국 수는 개통 기준 6만3000여개를 넘었다. KT는 연내 전체 인구 대비 80% 커버리지를 확보하고 유동 인구가 많은 주요 건물을 중심으로 실내 커버리지를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윤경근 KT 최고재무책임자(CFO) 전무는 “3분기 KT는 5G·기가인터넷 등 유무선 핵심 사업에서 한발 앞선 상품과 서비스로 프리미엄 가입자를 확보하고 효율적인 비용 집행으로 안정적인 실적을 달성했다”면서 “KT가 보유한 세계 최고 수준의 5G 기술과 AI 플랫폼 경쟁력을 더해 통신과 ICT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KT는 5G 가입자 기반을 넓히는 것과 동시에 국내 최고 수준의 인공지능(AI) 역량을 활용해 미래 사업에 집중한다. 국내 1위 인공지능(AI) 플랫폼 ‘기가지니’는 최근 가입자 200만을 돌파했고, 이 여세를 몰아 호텔·병원·자동차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kmg@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