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서울 | 박연준 기자] KBO가 유소년 엘리트 육성 고도화를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KBO는 지난 2일 선린인터넷고를 시작으로 전국 고등학교 1학년 야구선수 전체(약 1,200여 명)를 대상으로 ‘바이오메카닉스 동작 분석 기반 스마트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시행했다고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상·하반기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며,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민체육진흥공단의 후원으로 이뤄진다.
이번 프로그램은 체력 측정을 넘어 스윙과 피칭 등 야구 동작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개인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3D 동작 분석 장비인 Uplift를 활용하여 선수 개개인의 관절의 각도, 각속도 등과 비효율적인 동작을 측정하여, 키네마틱 시퀀스, X-factor 등의 운동학적 변인과 스웨이, 플라잉 오픈, 니 콜랩스, 레이트 라이즈, 포암 플라이아웃, 얼리 릴리즈, 니 도미넌트 로딩, 힙 하이크, 드리프트 포워드 등 에너지 효율 변인을 살펴보고 개인별 분석 리포트를 제공한다.
또한, 피지컬 데이터 측정 장비인 Vald ForceDecks(지면반력기 내장), Dynamo(관성센서 내장), Smart Speed(타이밍 게이트) 등을 통해 파워, 근력, 가동범위, 스피드, 민첩성 등의 신체 능력을 평가하고 볼 트래킹 장비인 Rapsodo를 통해 투구 구속, 회전수, 회전 방향/효율, 타구 속도, 비거리, 발사각 등을 함께 측정하여, 야구 동작과 신체 능력, 그리고 그 결과물인 투구/타구의 질까지 이어지는 연결 과정을 함께 분석할 계획이다.

첫 측정에 참여한 선린인터넷고 김명빈(1학년)은 “스윙 동작에서 잘 되는 부분과 부족한 부분을 명확히 알게 됐다”며 “장점은 더 살리고, 부족한 부분은 중점적으로 보완하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KBO는 이번 프로그램에 활용된 데이터를 일회성 분석으로 그치지 않고 시스템에 축적해, 선수 개인이 자신의 데이터를 반복 열람할 수 있도록 시스템도 함께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선수는 자신의 동년배 대비 수준을 파악하고 훈련 계획에 활용할 수 있다. 더불어 장기적으로는 누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KBO가 선수 육성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도 활용될 예정이다.
스마트 트레이닝을 통해 KBO는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선수 육성 체계를 구축하며 미래 야구 인재 발굴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duswns0628@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