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철현 의원, 양자산업 조직 일원화 필요 … AI국 중심으로 재정비 검토 제안

〔스포츠서울│수원=좌승훈기자〕경기도의회 김철현 의원(국민의힘, 안양2)이 대표 발의한 ‘양자인공지능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16일 제385회 임시회에서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심사를 통과했다.
김 의원은 “양자기술은 기존 정보처리 한계를 극복하고 경제·사회 전반의 혁신을 견인할 차세대 핵심 기술로, 특히 양자역학·인공지능·반도체가 융합된 양자인공지능산업은 초고속 정보처리, 초정밀 센싱 등에서 새로운 산업 지평을 열 것으로 전망된다”며 “전문 지원 기관 운영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개정안은 ‘경기도 양자인공지능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 산업 기반 조성과 인재 양성, 정책 수립 및 협력사업 발굴 등 실질적인 거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체계를 마련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양자인공지능산업은 고성장이 기대되는 미래 전략산업으로, 경기도가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보다 실질적인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이번 개정안이 미래산업의 기술 주권 확보와 도내 기업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길 바란다”고 했다.
조례안의 주요 내용으로는 ▲도지사가 경기도 양자인공지능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할 수 있도록 하고, ▲양자팹 허브 및 클러스터 조성, 산학연 협력, 정책보고서 발간, 기업 지원, 전문인력 양성 등 센터의 세부 업무를 규정한 신설 조항이 포함되어 있다. 이날 상임위를 통과한 조례안은 오는 23일 본회의에 상정 처리될 예정이다.
김철현 의원은 또 이날 AI국, 국제협력국, 미래성장산업국 업무협약 및 현안 보고에서 양자산업 관련 조직과 업무의 재정비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김 의원은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수요기반 양자기술 공모에 경기도가 선정된 것을 축하드린다”며 “현재 미래성장산업국 내 반도체산업과가 있으며, 이번에 선정된 공모사업은 AI국에서 추진한 것으로 알고 있다. 사업의 성격상 양자정보통신과 자율주행 등 여러 분야에 연계되어 있어 조직 간 연계와 역할 조정이 필요해 보인다”며 “양자 관련 업무를 AI국으로 일원화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김기병 AI국장은 “이번 공모는 미래성장산업국과 협업하여 추진한 사업이며, 양자컴퓨팅은 AI모델 학습과 서비스 구현에 활용될 수 있는 매우 유망한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면서 “AI국과 미래성장산업국이 각각 보유한 AI 응용 기술과 반도체 기반 하드웨어를 바탕으로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답변했다.
김철현 의원은 “AI국장께서 양자 관련 전문가이신 것으로 알고 있다”며 “양자 기술은 앞으로 여러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는 만큼, 관련 업무를 AI국 중심으로 통합하는 방안도 함께 논의해달라”고 요청했다.
hoonjs@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