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서울 | 함상범 기자] 넷플릭스 시리즈 ‘애마’가 나오기 전부터 영화판에서는 이름난 배우였다. 영화판 ‘핵인싸’ 남궁선 감독의 ‘지옥만세’에 출연하기도 했고, 이전 단편영화에서부터 두각을 나타냈다. 박강 감독의 ‘매몽’에선 오묘하고 매혹적인 느낌으로 강렬한 인상을 주기도 했다. ‘애마’ 이후 강력한 신예 배우가 될 거라는 건 자연스러운 흐름이었다.
실제로 방효린 이름 석 자가 국내 콘텐츠 계에 딱 박혔다. 신비한 이미지와 또렷한 발성, 영화에 더 잘 어울리는 현실적이면서도 호감 가는 외형, 여성미 가득한 체형까지, 새로운 얼굴임이 틀림없다. 첫 등장 신에 가까운 탭댄스에서 사실상 게임은 끝났다.

방효린은 최근 스포츠서울과 진행된 인터뷰에서 “‘애마부인’에 관한 이야기인 줄 잘 모르고 시나리오를 읽었다. 신주애를 읽고 나선 정말 이 역할을 연기하고 싶었다. 시리즈처럼 긴 호흡으로 연기하는 건 처음이라 걱정이 많았는데, 막상 할 때는 몰입해서 즐겁게 연기한 것 같다”고 했다.
기세가 남다르다. 어려운 신을 쉽게 쉽게 넘어갔다. 화려한 탭댄스는 물론 오디션 중에 심사위원들에게 가슴을 드러내놓고 눈 하나 깜짝 안 하는 지점이 대표적이다. 이후 노출 연기도 담대하게 이겨낸다. 무섭게 몰아붙이는 희란(이하늬 분)을 오히려 닮고 싶은 ‘간지나는 X년’이라고 설득하는 지점은 ‘애마’의 메시지와 맞닿는다. 비중이 컸던 역할이었음에도 흔들림 없이 표현했다. 진선규와 이하늬, 조현철처럼 연기력을 특출한 선배들 사이에서도 밀리지 않았다. 그것만으로도 성공이다.
“선배님들 아우라가 정말 대단했던 것 같아요. 진짜 캐릭터 같았어요. ‘컷’하면 다들 서로 응원해주고 안아주고 따뜻한 말이 오고 갔어요. 촬영장에서 배우 이상의 에너지를 느꼈던 것 같아요. 특히 하늬 선배님이 ‘너로서 살아’라는 말을 많이 해주셨는데, 기억에 많이 남네요. 아마 꾸미지 말고 지금처럼 연기를 사랑하는 마음을 갖고 살라는 것 같아요.”

전에 없던 캐릭터다. 단순히 미적으로 곱고 예쁜 걸 넘어섰다. 담백하면서도 사연이 있을 것 같은 기운이 느껴진다. 실제로 봐도 목소리나 화법, 제스처에 다소 독특한 지점이 있다. 씩씩한 데 반해 뭔가 다른 느낌이다.
“오묘하다는 말은 감독님들께 많이 들었던 것 같아요. 자연인으로 살 때는 못 들어봤어요. 뭔가 하려고 한 건 없어요. 이 신비한 느낌이 왜 드는 건지 모르겠어요. 좋은 말 같기는 한데, 뭐가 뭔지 모르니까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촬영 후 1년이 지나가고 있지만, 아직도 ‘애마’가 그립다. 촬영 전부터 늘 외웠던 대사가 아직도 길을 걷다 보면 생각난다. 잠깐 멍하니 쉴 때도 마찬가지다. ‘애마’의 마지막 대사다. 신주애 뿐 아니라 방효린에게도 밑거름이 될 수 있는 대사다.

“맷집으로 버티고, 악으로도 깡으로도 버티고, 아무리 애를 써도 언젠가 K.O 되는 날이 올 수도 있겠죠. 근데 그냥 매일 하루씩 싸우는 것 자체가 중요하고 그것만으로도 큰 의미라고 생각하면 막상 두려울 건 없어요. 그러니까 우리 잊지 않으면 좋겠어요. 우리는 아직 링 위에 함께 있어요.”
이제 시작이다. 모두가 주목하고 있다. 링 위에서 더 힘차게 뛰어놀 일만 남았다. intellybeast@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