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서울 | 배우근 기자] 드라마 한 회에 출연료 7억 원, 또는 그 이상 일수도 있다. OTT 열풍 속에서 배우 몸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 뛰는 헐리웃 스타들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약소한 편이다. 그럼에도 국내 톱스타들의 억소리 나는 출연료는 대중을 놀라게 하기엔 충분하다.
그렇다면 드라마를 창조하고 책임지는 작가들의 몸값은 과연 어느 정도일까?
감독 겸 방송인 장항준은 최근 유튜브 채널 ‘아침먹고가2’에 출연해 배우와 작가의 출연료에 대한 솔직한 시선을 드러냈다.
MC 장성규가 “요즘 배우들 회당 7억까지 받는다고 들었다”고 묻자, 장항준은 “우리 와이프 같은 경우 한 회당 25억 원”이라고 답해 모두를 놀라게 했다.
그의 아내는 드라마 ‘시그널’, ‘지리산’, ‘킹덤’ 등을 집필한 김은희 작가다.
그런데 장난기 넘치는 장 감독은 “거짓말이야”라며 너스레를 떨었다. 그리고 이어진 말이 꼬집고 싶은 현실이었다. 그는 “7억은 어림도 없다. 요즘 배우 몸값이 기하급수적으로 오르고 있다”고 언급했다.
방송 업계에 따르면 최근 OTT 시장 확장과 해외 수출을 고려한 제작 흐름 속에서 배우 출연료는 급등했다.
이에 반해 작가의 원고료는 상대적으로 완만한 상승세다. 일부 스타 작가의 경우 회당 3000만 원~7000만 원 수준이 알려져 있으며, 소수만이 1억 원 이상을 받는다. “작가보다 배우가 더 비싸다”는 장항준의 말은 현실 반영이다.
다만 드라마가 ‘히트’할 경우 작가에게 돌아오는 재방료 등 부가 수익은 상당하다.
장항준은 “재방송 수익이 원고료의 100%까지 나올 수 있다. 갑자기 통장에 억대가 들어온 적도 있다”며 “이건 김수현 작가님이 협회를 만들어 방송사와 맞붙으며 이뤄낸 권리”라고 설명했다.
kenny@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