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서울 | 박진업 기자]가수 하림이 ‘블랙리스트’ 의혹으로 번진 공연 취소에 대해 다시 한 번 의견을 밝혔다.
하림은 14일 오전에 이어 오후에도 SNS 계정을 통해 국가기관 주최 행상에서 섭외가 취소된 상황에 대해 정리하는 글로 소신을 밝혔다.
하림은 “음악가의 자리를 다시 생각하며 몇 권의 책을 들쳐보고 서점 계단에 앉아서 정리한다”며 “이것으로 작은 소동이 마무리되길 바란다”고 장문의 글을 문답 형식으로 게재했다.
하림은 “이것도 블랙리스트인가?”라는 물음에 대해 “계엄의 상처가 아직 완전히 가시지 않은 이 시점에, 며칠 앞으로 다가온 국가기관 주최 행사에서 갑작스럽게 섭외 취소 통보를 받았고 이유는 작년에 광장에서 노래를 했다는 것이었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이어 “(행사 준비가 다 된 좋은 취지의 행사였지만) 내가 거리에서 노래했다는 그 사실이 여전히 불편했던 모양”이라며 “한때 실재했다고 알려진 블랙리스트가 지금도 존재하는지는 저는 알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것을 조직적인 탄압이라고 단정 짓기보다는 여전히 우리 사회 곳곳에 남아 있는 두려움의 구조로 이해한다”고 확대 해석에 대해선 경계했다.
이어 하림은 “왜 그런이유로 취소 통보를 받았는데도 가만히 있었나”는 물음에 대해서는 “사실 비슷한 일은 과거에도 여러 번 있었다”면서 “그때마다 저는 따로 문제 삼지 않았는데 그런 통보를 전하는 이들은 대부분 갓 기획 일을 시작한, 책임지기 어려운 위치의 실무자들이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밝혔다. 더불어 “이 일도 처음엔 기록으로만 남기려 했지만 함께 노래했던 동료와 후배들도 저와 같은 입장에 놓일 수 있다는 생각에 조심스럽게 이 이야기를 정리해 보기로 했다”면서 “싸움이 되지 않도록, 상처 주지 않도록, 그러나 침묵하지 않기 위해서”라며 소신을 표현하게 된 계기를 설명했다.
또한 하림은 “음악가의 발언은 정치적 행동인가”라는 물음에 대해서는 “음악가들이 사회적 사건에 목소리를 내는 일이 꼭 정치적인 활동은 아니며 많은 음악이 결국 동시대를 반영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또 “요즘은 정치적으로 보이는 일과 실제 정치적인 것의 경계가 아주 모호해진 시대”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하림은 “음악은 칼도, 방패도 아니기를요. 음악은 그저 음악일 뿐”이라며 “그 음악이 전부인 친구들 누구도 낙엽처럼 정치적 이슈에 쓸려 다니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소동을 기록한다”고 바람을 밝혔다.
하림은 13일 자신의 SNS에 “며칠 앞으로 다가온 국가기관 주최 행사에서 갑작스럽게 섭외 취소 통보를 받았다”며 “이유는 작년에 광장에서 노래를 했다는 것”이라고 밝혀 ‘블랙리스트’ 논란이 일었다.
하림은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이후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 및 탄핵을 응원하는 목소리를 꾸준히 내 왔으며 12월 24일 광화문에서 열린 윤석열 전 대통령 퇴진 촉구 집회 무대 ‘메리퇴진 크리스마스 민주주의 응원봉 콘서트’에 올라 ‘사랑이 다른 사랑으로 잊혀지네’, ‘출국’ 등 히트곡을 열창하며 집회 참가자들을 응원한 바 있다.
‘블랙리스트’ 의혹과 관련해 섭외를 취소한 통일부 관계자는 14일 “실무진이 기획사와 행사안을 검토하는 단계에서 출연자(하림)가 작년 말 대통령 퇴진 집회의 주요 공연자라는 걸 알게 됐다”며 “행사 예정 시기가 대선 기간이라 불필요한 정치적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로 섭외를 중단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upandup@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