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군단 군무원, ‘18년 469명에서 ‘24년 4,885명으로 약 10.4배 증가
9급 군무원 1호봉 실수령액 175만 원, 전방지역 배치되면 월세·교통비로 절반 지출
신규 임용 후 3년 이내 면직자 상당, 전체 군무원 면직자의 80%가 전방지역 군무원
황명선 의원, “군무원 이탈을 막기 위한 종합적인 대책 필요한 때”

[스포츠서울 | 이상배 전문기자] 19일 더불어민주당 황명선 의원(국회 국방위원회)이 전방지역 군무원 이탈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황 의원이 육군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저출산으로 병역자원이 감소하면서 ‘18년 이후 전방지역 군무원 정원은 대폭 늘었다. ‘18년 469명이던 전방군단 군무원은 ‘24년 4885명까지 늘어나 약 10.4배 증가했다. 반면 군무원 채용률은 낮아지는 추세다. ‘21년에 비해 ‘24년 획득률이 20% 가까이 감소했다.

채용이 되더라도 문제다. 신규 임용 후 3년 이내 그만두는 면직자들의 규모가 상당하다. 문제는 전체 군무원 면직자의 80%가 전방지역 군무원이라는 점이다. 전방지역은 군사적 긴장감이 높을 뿐 아니라, 주거·교통 환경이 열악해 비선호 지역으로 꼽힌다.
군인은 관사, 전세자금 대출, 월 16만 원의 주거 수당을 선택할 수 있지만, 군무원은 해당 사항이 없다. 9급 군무원 1호봉의 실수령액은 175만 원, 전방지역에서 근무할 경우 월세 6~70만 원, 교통비 5~15만 원을 지출하면 사실상 월급 절반이 날아가는 셈이다.

황 의원은 “병력도 감소하고 있는데, 군무원 이탈까지 가속화되는 것은 작전수행 능력 저하뿐만 아니라 전투 준비태세를 약화시키는 요인”이라고 지적하며, “전방 근무수당 신설 등 군무원 이탈을 막기 위한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sangbae0302@sportsseou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