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서울 김진욱기자] 박근혜 정부에서 세번째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으로 조윤선 전 여성가족부 장관이 내정됐다. 박근혜 대통령의 복심으로 통하는 조윤선 내정자의 인사에 대해서는 정치적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정치적인 논란만큼 조윤선 문체부 장관 내정자를 바라보는 게임업계의 시선도 복잡하다. 아무래도 게임산업 진흥을 담당하고 있는 문체부 장관이라는 점도 있지만, 지난 2013~2014년 1년여간 게임산업 측면에서는 대척점에 있었던 여성가족부 장관이라는 경력때문이다.
조윤선 내정자는 여가부 장관 내정자 시절 거친 청문회에서 게임산업 성장의 발목을 잡은 대표적인 법인 ‘게임셧다운제’에 대해서 기존 반대 입장을 철회하고 찬성 입장을 밝힌 전력이 있다. 또한 게임사 매출의 1%를 게임중독치료기금으로 징수하자는 ‘매출액 1% 징수법’인 손인춘 법에 대해서도 찬성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이뿐이 아니다. 지난 19대 국회에서 논란이 됐던 게임을 술, 도박, 마약과 함께 4대 중독물질로 규정한 ‘중독 예방·관리 및 치료를 위한 법률안’(게임중독법)을 여가부가 앞장서 통과시키려했다. 그리고 그 수장의 자리에 있었다.
이러한 전력때문에 문화연대 등 시민단체에서는 조윤선 내정자의 문체부 장관 내정을 강하게 비판을 하고 있다.
하지만 게임업계에서는 조금은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는 분위기다. 셧다운제 관련법이 통과 될때인 18대 국회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으로 반대표를 던졌다는 점에 긍정적 시선을 보내고 있다. 또 여가부 장관으로 재직시 장관으로서 게임산업에 대한 규제를 주장해오던 부처의 방향성에 반하는 의견을 내놓기 힘들었을 것이라는 의견이다. 조윤선 내정자가 여가부 장관시절 게임산업과 직접적으로 갈등을 빚지는 않았다는 것도 이러한 주장에 무게를 실어준다.
더 나아가, 업계에서는 규제를 철폐하고 창조경제라는 박근혜 정부의 국정철학을 가장 잘 이해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인물인 만큼 게임산업 진흥에 제대로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감추지 않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걱정은 지워지지 않는다. 조윤선 내정자는 16일 급하게 기자간담회를 자처해 문화융성이라는 문체부 장관 내정자로서의 입장을 밝히면서도 여가부 장관으로서 또 문체부 장관 내정자로서 공통점을 가진 게임산업에 대한 입장에 대해서는 전혀 밝히지 않았다. 더구나 기자들의 질문도 받지 않고 38초만에 자리를 떠나 입방아에 오르고 있다. 내정자로서 말을 아껴야 했기 때문이었을 수 있다.
무엇보다 소통이 중요한 문체부 장관으로서 이와 같은 일이 반복된다면 게임산업만의 불행은 아닐 것이라는 것은 누구나 직감할 수 있다.
jwkim@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