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 가득 쌓인 부산항
한국의 7월 무역수지가 46억7000만 달러(약 6조900억원) 적자를 보여 4달 연속 적자가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4달 연속 무역수지 적자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4년 만에 처음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이 같은 내용의 7월 수출입 통계를 발표했다. 사진은 이날 오전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사진|연합뉴스

[스포츠서울 | 홍성효기자] 7월 무역수지 역시 적자를 기록해 4달 연속 적자가 이어졌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의 7월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지난해 같은 달 대비 9.4% 증가한 607억달러, 수입은 21.8% 늘어난 653억7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이로써 무역수지는 46억7000만달러(약 6조900억원) 적자를 보여 지난 4월부터 4달 연속 적자를 기록하게 됐다. 4달 연속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6~9월 이후 14년 만이다. 월별 적자 규모는 4월 24억8000만달러, 5월 16억1000만달러, 6월 25억7000만달러에 이어 7월 46억7000만달러로 커졌다.

수출액은 기존의 7월 최고 실적인 지난해 7월(555억달러) 대비 52억달러 많았다. 산업부는 “주요국 긴축 정책과 30% 가까이 늘어난 지난해 수출 증가율에 따른 기저효과에도 불구하고 수출은 21개월 증가세를 유지했다”고 말했다.

15대 주요 품목 중 7개의 품목이 지난달 수출을 이끌었다. 특히 석유제품·자동차·이차전지가 역대 월 기준 1위 기록을 경신한 가운데 반도체도 역대 7월 1위를 달성하며 수출증가세를 이끌었다. 수출 증가율은 석유제품의 경우 86.5%에 달했고 이어 자동차 25.3%, 이차전지 11.8%, 반도체는 2.1% 등이었다.

9대 지역 중에서는 5개 지역 수출이 증가했다. 미국 수출은 100억달러를 기록하며 역대 월 기준 최고기록을 경신했고, 아세안은 9개월 연속 100억 달러를 상회하는 호조세를 이어갔다. 반면 대(對)중국 수출이 2.5% 줄었고 독립국가연합(CIS)과 중남미 등도 감소했다.

수입은 높은 수준의 에너지 가격 등의 영향으로 수출을 넘어섰다. 원유·가스 등 에너지 수입액은 전년(97억1000만달러)대비 87억9000만달러 증가한 185억달러(+90.5%)로 수입 증가세를 주도하며 적자 발생에 영향을 미쳤다. 산업부는 “에너지원 중심의 수입이 수출을 상회함에 따라 무역적자가 발생했다”며 “일본·독일 등 주요국들도 에너지 수입 급증으로 무역수지가 악화됐다”고 설명했다.

shhong0820@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