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서울 | 장강훈 기자] LG유플러스(U+)가 보이스피싱 조직에 걸려든 피해자를 구했다. U+가 운영하는 ‘고객 피해방지 분석시스템’ 덕분이다.

때는 지난 2월말. U+는 서울경찰청과 함께 서울 마포구에 사는 이용자 자택을 방문했다. 해당 이용자는 카드 배송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조직이 몰래 깔아둔 악성 앱 때문에 모든 전화와 문자 정보가 탈취되는 상태였다.

해당 이용자는 112나 1301(검찰) 등 긴급전화를 걸어도 수사기관을 사칭한 범죄 조직이 받는 상황까지 내몰렸다. 자택을 방문한 U+직원과 경찰관을 보이스피싱 조직원으로 오해했을 정도였다. 통신을 완전히 장악당한 이용자는 거액을 송금하기 직전에 경찰과 U+직원의 도움을 받았다.

U+가 보이스피싱 사기 피해를 보기 직전 이용자를 구한 배경은 ‘고객 피해방지 분석시스템’ 덕분이다. 탐지 결과를 경찰에 주기적으로 전달하는데, 금융보안원 등과 검증, 분석 등을 거쳐 악성 앱 설치로 피해를 볼 수 있는 시민을 방문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더 견고한 시스템 구축을 위해 경찰과 피해자 주거지에 동행한 U+측은 “이번 경험을 토대로 보이스피싱 조직이 쉽게 탈취할 수 없는 방법으로 위험 상황을 알리는 ‘악성 앱 의심 경보’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경찰청 등과 협조해 인공지능(AI) 통화 에이전트인 익시오에 적용한 보이스피싱 탐지 시나리오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U+ 홍관희 정보보안센터장은 “서울경찰청과의 공조를 통해 새로운 수법을 접하고, 대비책을 마련할 기회를 얻었다”며 “보이스피싱 상황을 알리는 체계를 고도화해 안전하게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경험을 이어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 형사기동대 심무송 피싱범죄수사계장은 “경찰로부터 악성앱 설치 사실을 안내받고도 경찰을 보이스피싱 조직원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있는데, 의심된다면 가까운 경찰서나 지구대를 직접 방문하시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며 “특히 어떤 경우에도 경찰이나 검찰이 금전을 요구하는 일은 없다는 점을 기억해달라”고 당부했다. zzang@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