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서울 | 배우근 기자] 넷플릭스 신작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전 세계적으로 화제를 모으는 가운데, 중국 대형 온라인 쇼핑몰에서 불법 굿즈가 판매되고 있어 논란이다.
최근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 전 세계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중국 온라인 플랫폼에서는 케데헌 캐릭터를 무단으로 도용한 티셔츠, 가방, 인형, 담요 등이 버젓이 팔리고 있다. 정식 라이선스를 거치지 않은 불법 제품임에도 합법적인 상품처럼 위장해 판매가 이뤄지고 있는 것.
이 같은 행태는 처음이 아니다. 앞서 전 세계를 휩쓴 ‘오징어게임’의 경우에도 중국 내에서 무단 복제물 유통과 불법 굿즈 판매가 심각한 수준으로 확산된 바 있다. 당시에도 짝퉁 굿즈 판매상들이 특수를 누리며 국제적인 비난을 받았다.

이번 사태에 대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정말로 한심한 행위”라며 “불법 시청도 모자라 불법 굿즈까지 만들어 자신들의 수익 구조로 삼는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이제는 그만해야 한다. 더 이상 다른 나라의 콘텐츠를 도둑질하는 행위는 멈춰야만 한다”고 강하게 경고했다.
상황은 더 황당하다. 중국 누리꾼 일부는 불법 시청 후 중국 최대 리뷰 사이트 더우반에 약 7000건의 리뷰를 남기며 “케데헌이 중국 문화를 표절했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정작 불법으로 콘텐츠를 소비한 뒤 한국이 문화 도둑이라는 억지를 부리는 모순적인 태도다.
케데헌은 세계적인 관심을 받고 있는 K-콘텐츠 신작으로, 불법 굿즈 판매와 억지 주장이 반복될수록 중국의 문화 도둑질 행태는 국제 사회의 더 큰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kenny@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