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업 미참여자와 사전·사후 비교…건강, 삶의 만족도, 자존감 유의미한 결과 도출

-올해 3차년도 사업 추진 시동… 24일부터 예비신청자 모집

〔스포츠서울│수원=좌승훈기자〕경기도 장애인 기회소득 참여자 10명 중 7명 이상은 신체적·정신적 건강이 기회소득 활동 참여 이후 ‘좋아졌다’고 응답했다.

경기도는 22일 ‘2024년 장애인 기회소득 성과연구 최종보고회’에서 2년차 장애인 기회소득 성과를 발표했다.

이날 보고회에서 발표된 설문조사는 지난해 경기도 장애인 기회소득 참여자 중 6814명이 응답했으며, 장애인 소득 분야 전문가 윤상용 교수(충북대학교)가 책임연구를 맡아 진행됐다.

그 결과를 보면 장애인 기회소득 사업 시작 시점과 사업 기간 신체활동 변화수준을 비교한 결과, 비활동적(주 1회 이하)이라고 대답한 비율이 54.6%에서 11.9%로 현저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됐다.

응답자의 74.2%는 기회소득 참여 이후 신체적 건강상태가 ‘좋아졌다’고 응답했으며, 77.1%는 정신적 건강상태가 ‘좋아졌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85.4%는 기회소득 사업 참여 이후 ‘건강관리에 변화가 있다’고 했고, 87.2%는 ‘외부활동이 증가했다’고 했다.

장애인 기회소득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업 참여집단 104명과 미참여집단 100명을 대상으로 사업 전·후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삶의 만족도, 자존감 차원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됐다.

도는 올해 장애인 기회소득 사업의 예비신청자를 오는 24일부터 모집한다. 참여를 희망하는 자는 경기민원24 누리집과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다. 예비신청자는 결원 발생 시 사업량에 따라 선정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

장애인 기회소득 사업은 정도가 심한 장애인이 스마트워치를 활용해 주 2회 이상 가치활동을 인증하고, 전용앱을 통해 사회참여활동 사진을 게시하는 등의 추가미션을 수행하면 월 10만 원의 기회소득을 지급하는 것이다.

김하나 복지국장은 “장애인 기회소득 사업은 단순히 소득보장을 위한 제도가 아닌 참여자들이 주도하는 가치활동을 통해 역량강화의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정책”이라며 “이번 연구를 통해 많은 분들이 사업의 성과를 이해하고, 장애인 복지 정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hoonjs@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