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서울 | 장강훈 기자]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4000억원에 그쳤다.

메모리 사업에서 대규모 재고 자산 평가 충당금이 발생했고, 비메모리 사업도 미국의 중국 제재 영향으로 부진하면서 영업이익이 크게 감소했다. 스마트폰도 갤럭시 S25 판매실적이 신통치 않은데다 TV마저 시장 경쟁이 심화해 반도체 부진을 상쇄하지 못했다. 6분기 만에 최저치다.

삼성전자는 7월 31일 2분기 실적을 공시했다. 연결 기준 2분기 영업이익은 4조676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5.23%나 감소한 것으로 잠정집계됐다. 매출은 74조5663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0.67% 증가했지만 순이익은 5조1164억원으로 48.01% 줄었다.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부문은 매출 27조9000억원, 영업이익 4000억원이다. 마이너스는 아니지만, 만족할 만한 실적은 아니라는 게 일반적인 견해. 메모리 사업의 재고 자산 평가 충당금과 비메모리 사업의 대중 제재 영향 탓에 감소폭이 커진 것으로 알려졌다.

메모리는 HBM3E와 고용량 DDR5 제품 판매 비중 확대로 수요에 적극 대응했지만 재고 자산 평가 충당금 등 일회성 비용이 반영돼 실적은 하락했다.

시스템 LSI 역시 주요 플래그십 모델에 시스템 온 칩(SoC)을 공급하는 등 준수한 매출을 달성했지만, 첨단제품 개발 비용 상승으로 수익성 개선은 미미했다.

스마트폰을 비롯한 완제품을 담당하는 DX부문은 매출 43조6000억원, 영업이익 3조3000억원을 달성했다. 이 중 특히 모바일경험(MX)·네트워크사업부의 매출은 29조2000억원, 영업이익은 3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갤럭시 S25 출시 효과 감소와 TV 시장 경쟁 심화로 1분기보다 매출이 16% 감소했다.

TV를 담당하는 영상디스플레이(VD)사업부는 ▲Neo QLE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초대형 TV 등 전략 제품의 판매 비중이 확대됐으나, 글로벌 경쟁 심화로 실적이 하락했다.

디스플레이는 스마트폰 신제품 수요와 IT·자동차에 공급되는 중소형 패널 판매 확대로 전분기 대비 매출이 개선됐다. zzang@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