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서울 최신혜기자] 7~8월, ‘허리디스크’, ‘척추관협착증’과 함께 3대 척추질환의 하나로 불리는 ‘척추전방전위증’ 환자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0~60대 여성환자가 많은 것으로 밝혀져 주의가 요구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통계에 따르면 척추전방전위증으로 병원을 내원한 환자는 심사년도 기준, 2013년 14만8605명에서 2014년 15만4071명으로 약 5500명 증가했다. 13만명대였던 2011년에 비해서는 약 2만여명이 늘어났다. 특히 2013년, 2014년 모두 한 여름철인 7, 8월에 내원한 환자가 평균 2만7500여명으로 월평균 내원환자수인 2만5500여명보다 2000여명이 많았다.

척추·관절 바른세상병원의 이승철 척추센터장(신경외과 전문의)은 “디스크나 협착증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척추질환인 척추전방전위증은 척추의 위, 아래 뼈가 어긋나면서 변형과 통증이 일어나는 질환으로 노화로 인한 발병요인이 가장 높긴 하지만, 야외 운동이나 사고로 인한 외상도 주요한 원인 중 하나”라며 “봄철을 맞아 야외운동을 늘린 후 이로 인한 피로누적과 부상, 여름철 외부활동이나 휴가 중 사고나 외상으로 인한 척추손상 증가가 7, 8월 척추전방전위증 환자 증가의 원인이라고 추측된다”고 말했다.

특히 척추전방전위증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2.6배 많이 발생하며, 그 중에서도 50, 60대가 44%로 많다. 바른세상병원 척추센터가 2014년 5월부터 2016년 4월까지 2년간 병원을 찾은 3131명의 척추전방전위증 환자를 분석한 결과, 60대 여성이 718명(23%)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여성이 675명으로 21%를 차지한 것으로 밝혀졌다. 전체 환자 중 여성이 2253명(72%)으로 878명(28%)인 남성에 비해 1375명 많았으며 남녀 모두 40대부터 급격한 증가세를 보였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통계도 이와 다르지 않아 2014년 진료를 받은 전체 환자 31만1155명 중 73%인 22만7899명이 여성으로 나타났으며 60대 여성이 7만6106명으로 24%를 차지했고 50대 여성이 6만6749명으로 21%를 차지했다.

노화가 시작되는 40대부터는 척추를 지지하는 힘이 약해지고 척추 불안정성이 증가돼 척추전방전위증에 대한 위험도가 상승한다. 특히 여성들의 경우 근육량이 남성의 3분의 2수준으로 적은 데다, 50~60대 여성은 폐경기를 지나며 여성호르몬의 감소가 발생해 척추전방전위증에 취약할 수 있다.

척추뼈의 어긋난 정도가 적으면 약물과 물리치료를 병행하고, 보조기를 착용하거나 평소 증상을 유발하는 활동을 피하는 것으로 통증을 완화시키면서 질환 악화를 막을 수 있다. 하지만 통증이 심한 경우, 꼬리뼈에 2mm두께의 작은 관을 넣어 척추신경을 둘러싼 경막 바깥 공간을 타고 올라가 염증부위를 직접 보면서 치료하는 신경감압술을 시행한다. 만약 척추 위, 아래 뼈가 심하게 어긋나고 신경이 눌려 시술이 어렵다면, 척추 불안정성을 해소하기 위해 ‘미세골유합술’로 척추 뼈를 고정해야 한다.

척추전방전위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허리에 자극을 주는 동작을 자제하고, 운동으로 척추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것이 필수다. 환자라면 반드시 전문의의 운동가이드를 받아야 한다. 갱년기 후 여성이라면 일상생활이나 가사노동 시 허리를 굽히는 자세와 오래 서 있는 것을 삼가야 한다. 특히, 여성들이 선호하는 요가는 허리통증이 있는 사람이라면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이승철 척추센터장은 “중년 이후 여성들에게 많이 나타나는 척추전방전위증은 척추관협착증과 증상이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환자들이 자가진단으로 오인하고 병을 키워 수술이 불가피한 경우가 종종 있다”며 “척추전방전위증은 어긋한 정도가 적을 수록 치료가 쉽기 때문에 초기 단계에 병을 치료하는 좋으니 해당 질환이 의심되면 지체 말고 정확한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ssin@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