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서울 | 배우근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최근 K-콘텐츠 창작자와 만나 현장목소리를 경청했다.

이 자리에서 영화 ‘국제시장’의 윤제균 감독은 “극장에 관객이 줄어 대기업도 투자를 꺼린다”며 “중증외상센터 같은 응급상황이다. 정부가 한시적이라도 연간 1000억원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호소했다.

이에 이재명 후보는 상업영화의 경우, 자본주의 시스템 안에서 투자와 회수가 이뤄질 것이라는 신중한 자세를 보이면서도 문화의 기본에 대해 언급했다. 이 후보는 “성남시장과 경기지사 시절 독립영화 지원을 했다”며 시장원리와 공공책임의 균형을 짚었다.

특히 창작의 출발점인 시나리오를 강조했다. 이 후보는 “시나리오가 중요한데 작가를 키울 시스템이 없다. 플랫폼도 외국에 넘어가는 상황에서 공공 플랫폼의 토대도 다져야 한다”고 ‘기본 역량 강화’에 방점을 찍었다.

이 후보의 성찰과 달리, 문화계 일각에선 여전히 “정부 돈만 받으면 살아난다”는 목소리가 끊이지 않는다. 이에 영화평론가 최광희는 최근 SNS를 통해 뼈아픈 지적을 남겼다.

최 평론가는 “지원은 하되 간섭하지 않는 정책은 김대중 정부 이후 계속됐다. 문제는 돈이 끊겨서가 아니다. 대기업 독과점을 방치한 정부 탓”이라며 “수천억 지원도 결국 밑 빠진 독에 물 붓는 꼴”이라고 일갈했다.

그는 “한국영화의 재도약을 원한다면 법 두 개만 고치면 된다”며 구체적 대안을 제시했다.

첫째, 영비법 개정이다. 멀티플렉스가 특정 영화에 상영관의 30% 이상을 몰아주지 못하도록 법으로 제한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둘째, 저작권법 개정이다. 시나리오 작가가 2차 판권 수익을 보장받도록 계약을 의무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최 평론가는 “이 두 가지는 대기업 이익에 반해 쉽지 않다. 그러나 모든 복지 정책은 처음엔 비난받지만 결국 모두의 행복으로 돌아온다”고 강조했다.

kenny@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