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file.sportsseoul.com/news/cms/2025/02/12/news-p.v1.20240919.fd95110f662e47ca81ac1294f3081b6d_P1.jpg)
[스포츠서울 | 원성윤 기자] CJ ENM은 한국채택국제회계 (K-IFRS) 연결기준으로 2024년 연간 매출액은 5조 2314억원, 영업이익은 1045억원을 기록했다고 12일 공시했다.
엔터테인먼트 사업은 티빙의 성장과 글로벌 콘텐츠 유통 확대에 힘입어 흑자전환에 성공했으며, 커머스 사업은 모바일 라이브커머스 고성장 기반 플랫폼 경쟁력 강화에 따라 외형과 수익성 모두 견조하게 성장했다.
CJ ENM 관계자는 “2024년 티빙의 괄목할 만한 성장과 고도화된 콘텐츠 유통전략, 모바일 라이브커머스의 성장으로 턴어라운드에 성공했다”며 “엔터 사업은 2025년에 콘텐츠의 양적·질적 성장을 바탕으로 글로벌 사업 역량과 플랫폼 경쟁력 확대에 집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24 프로야구 중계→티빙 유료가입자 전년 대비 33.4% 증가
![](https://file.sportsseoul.com/news/cms/2025/02/12/news-p.v1.20241025.53dab68fdea840de93f2cc96decc1c50_P1.jpeg)
미디어 부문 매출은 콘텐츠 화제성과 시청률을 모두 잡은 tvN의 선전에 힘입어 2023년 대비 8.8% 증가한 1조 3732억원을 기록했다. 대외 환경 악화로 인한 광고 시장 축소에도 불구하고 탁월한 콘텐츠 경쟁력을 바탕으로 견조한 성장을 이어갔다.
특히 ‘2024 KBO 리그’ 중계 등 차별화된 콘텐츠 및 광고 요금제(AVOD)로 유료 가입자를 끌어 모은 티빙의 연간 매출은 2023년 대비 33.4% 증가한 4353억원을 기록하며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영화드라마 부문 매출은 콘텐츠 유통 사업 호조와 피프스시즌(FIFTH SEASON)의 사업 정상화로 전년비 56.1% 증가한 1조 7047억원을 달성했다. 히트IP의 글로벌 플랫폼 동시 방영과 콘텐츠 라이브러리의 해외 패키지 판매가 지속 확대되며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는 분석이다.
음악 부문은 자체 아티스트 선전과 글로벌 신규 아티스트의 성공적인 데뷔를 발판으로 성장세를 이어가며 연간 매출 7021억원을 기록했다. 5세대 대표 보이그룹 제로베이스원(ZEROBASEONE)이 발매하는 앨범마다 ‘밀리언셀러’라는 대기록을 수립한 것은 물론, izna, ME:I, IS:SUE 등 차세대 글로벌 아티스트들의 성공적인 데뷔가 이어지며 매출 성장을 이끌었다.
◇‘폭군의 쉐프’ ‘태풍상사’ 등 드라마 라인업 전진 배치
![](https://file.sportsseoul.com/news/cms/2025/02/12/news-p.v1.20250210.43a9f69c7f6c48639c6a3acac78e870b_P1.jpg)
CJ ENM은 이날 컨퍼런스 콜을 통해 2025년의 목표를 ‘콘텐츠 글로벌 확장 및 디지털 플랫폼 성장’으로 잡았다.
드라마 ‘눈물의 여왕’ ‘선재 업고 튀어’ 등 신드롬급 열풍을 일으켰던 기획·제작 역량을 바탕으로 분기별 텐트폴 드라마를 전진 배치할 계획이다.
올해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 ‘폭군의 셰프(가제)’, ‘태풍상사’ ‘얄미운 사랑’ 예능 ‘뿅뿅 지구오락실3’ ‘대탈출 : 더 스토리’ ‘환승연애 4’ 등 한층 강화된 라인업을 선보일 계획이다.
특히 올해를 ‘글로벌 가속화 원년’으로 삼고 콘텐츠, 티빙, 음악 중심의 글로벌 사업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윤상현 CJ ENM 대표이사는 “콘텐츠 산업은 더 이상 국경도, 언어도, 장르간 경계도 없어 어느때 보다 혁신적 시도와 새로운 도전이 필요하다”라며 “미래를 향한 새로운 챕터를 열어가겠다”고 말했다. socool@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