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은 장난 아니다”…윤일상, 뉴진스 사태에 던진 뼈아픈 경고

[스포츠서울 | 배우근 기자] 국내를 대표하는 작곡가 중 한명인 윤일상이 ‘뉴진스 사태’를 두고 작심 발언을 쏟아냈다. 핵심은 ‘계약의 무게’와 ‘어른의 책임’이다.
최근 윤일상은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올린 영상에서 뉴진스와 어도어 사이의 갈등을 정면으로 언급했다. 그는 “계약은 장난이 아니다. 아티스트를 애정한다고 하면서 위험에 내몰면 그건 애정이 아니다”라고 일갈했다.
윤일상은 제작자와 아티스트의 관계를 “물건 비즈니스가 아니라 사람 비즈니스”라고 정의했다. 계약은 단지 문서가 아닌, 한 사람의 인생을 걸고 맺는 약속이라는 것.

그러면서도 “영리 목적이 있는 비즈니스인 만큼, 제작자는 늘 계륵 같은 딜레마를 안고 산다. 하지만 그럴수록 원칙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 연장선에서 윤일상은 계약의 가치를 강조했다. 그는 “이미 뉴진스는 선택을 했다. 계약서를 썼으면 일단은 이행하고, 그 이후에 권리를 주장하는 게 순서”라며 “인터뷰로 한국 음악계 전체를 비판한 것은 너무 앞서간 선택일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윤일상이 가장 강하게 꼬집은 건 뉴진스 멤버들을 직접 전면에 내세운 방식이다.
그는 “브아걸이라면 내가 나서서 말했을 것”이라고 언급하며 “어른들이 진짜 아티스트를 원한다면, 이렇게 노출시키지 않았을 거다. 아직 어린 그들이 모든 걸 설명하게 만든 건 폭력에 가깝다”고 비판했다.
또한 “회사가 존재하는 이유는 아티스트가 음악에 집중할 수 있도록 보호막이 되어주는 것이다. 그런데 이번 사태에선 회사가 방패막이 되지 않고, 되레 뒤에 숨은 느낌마저 든다”고 말했다.

윤일상은 이번 사태의 배경엔 기획사 시스템의 구조적 한계도 존재한다고 진단한다.
대형 기획사는 자본과 인프라 면에서 유리하지만, 상대적으로 개별 아티스트에 대한 밀착도는 낮을 수밖에 없다. 반면 독립 제작자는 케어와 신뢰 면에선 강하지만, 마케팅·홍보력에서 한계를 보인다는 것.
한편 법원은 최근 어도어의 손을 들어주며 뉴진스의 독자 행보에 제동을 걸었다. 뉴진스는 지난해 11월부터 독자 활동을 이어왔으나, 이번 가처분 결정으로 활동이 중단된 상태다.
kenny@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