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서울 | 배우근 기자] 일본 정부가 ‘군함도(하시마) 강제노역’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알리겠다고 유네스코에 약속한 지 10년이 지났다. 그러나 지금까지도 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이제는 군함도 문제를 국제이슈로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 정부는 최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제47차 회의에서 일본의 후속 조치 이행 상황을 국제적으로 평가하자고 제안했다. 이는 군함도 내 조선인 강제노역 역사를 은폐하려는 일본 정부의 행태를 공론화하려는 시도였다.

그러나 일본 측은 “이는 양국 간 논의해야 할 양자 문제”라며 반발했고, 결국 한일 양국 간 초유의 표 대결이 벌어졌다. 투표 결과 일본의 수정안이 과반 찬성으로 통과됐다. 사실상 일본의 역사 왜곡이 국제무대에서 용인된 셈이다.

논란이 가열되는 가운데, 서경덕 교수는 “이번에는 이상할 만큼 일본 정부가 조용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일본 정부가 유네스코에서 외교적 승리를 거뒀음에도, 외무성은 물론 관방장관조차 정례 브리핑에서 언급조차 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는 일본이 국제사회의 관심을 피하려는 조용한 전략”이라며 “군함도뿐 아니라 사도광산에 이르기까지 강제노역 역사를 철저히 묻으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 교수는 “이제는 우리가 적극적으로 국제사회의 공론화를 주도해야 할 때”라며 “세계적인 여론이 형성된다면 일본도 결국은 과거사를 인정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군함도의 진실을 알리는 캠페인을 넘어, 유네스코 내에서 공식적인 재검토 요청과 함께 미국·유럽 등 주요 국가와의 연대도 강화해야 한다”며 “역사를 기억하지 않는 자가 반복할 수 있다는 교훈을 되새겨야 할 시점”이라고 설파했다.

kenny@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