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file.sportsseoul.com/news/cms/2025/02/09/news-p.v1.20250209.bffa769bcace4cc6b66138a36bff505c_P1.jpg)
[스포츠서울 | 장강훈 기자] 대학야구의 ‘큰별’이 졌다.
일명 ‘드림팀’으로 불린 1998년 방콕 아시안게임 금메달을 이끈 주성노 전 야구대표팀 감독이 8일 별세했다. 지난해 12월 검진에서 암 판정을 받은 뒤 최근 급격히 병세가 악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까지도 대학야구 부흥을 비롯해 아마추어 야구 활성화를 위해 고군분투하던 ‘영원한 야구인’은 이제 그라운드로 돌아올 수 없는 곳으로 떠났다.
1952년 부산에서 태어난 고인은 부산고와 부산 산업대를 거쳐 한일은행 실업야구단에 입단한 투수였다. 현역에서 물러난 뒤 부산고와 경성대, 휘문고 등을 거쳐 1986년 인하대 감독에 취임했다. 김기태(전 LG, KIA 감독) 서재응(NC 수석코치) 등이 고(故) 주성노 전 감독의 제자들이다.
![](https://file.sportsseoul.com/news/cms/2025/02/09/news-p.v1.20250209.bea2ba63257442d29ffa9172ccaf9dfa_P1.jpg)
아마야구 중에서도 성인 대표팀 지도자로 입지를 다진 주 전 감독은 1998년 방콕 아시안게임 야구대표팀 지휘봉을 잡고 6전승으로 우승을 이끌었다. 방콕 대회는 아시안게임에 프로 선수들이 출전할 수 있도록 문호를 열어준 첫 대회였다. 금메달을 따내면 병역혜택을 받을 수 있어 메이저리그에서 ‘코리안특급’으로 승승장구하던 박찬호를 비롯해 김동주(OB) 박재홍(현대) 이병규(LG) 등 국내 최고 선수들이 출전했다.
인하대 감독이기도 해 아마추어 선수도 선발했는데, 이때 방콕에서 금메달 사냥에 힘을 보탠 서재응 김병현 등은 이후 메이저리그에 입단해 성공신화를 쓰기도 했다. 개성강한 프로 선수들이 모인 탓에 조직력에 의문부호가 찍혔지만, 주 감독은 때론 강하게, 때론 부드럽게 선수단을 규합해 무결점 레이스를 완성했다.
![](https://file.sportsseoul.com/news/cms/2025/02/09/news-p.v1.20250209.64132d8a9e144357bf090b58cb56a3f3_P1.jpg)
1999년 아시아선수권대회 우승으로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본선 진출권을 따낸 고인은 시드니올림픽과 2002 부산 아시안게임 때는 코치로 대표팀과 함께했다.
이후 2008년 창단한 우리 히어로즈(현 키움) 스카우트로 프로무대에 뛰어든 주 전 감독은 기술이사 등을 역임했다. 김하성(탬파베이) 최원태(삼성) 송성문(키움) 박동원(LG) 조상우(KIA) 등은 고인이 스카우트와 기술이사로 재직할 당시 선발했다.
![](https://file.sportsseoul.com/news/cms/2025/02/09/news-p.v1.20250209.2ed97ad8cf914bf3b2d2902f7cd50746_P1.jpg)
프로팀에서 물러난 뒤 한국야구위원회(KBO)와 함께 초등학교를 찾아다니며 재능기부를 했고, 여자야구 대표팀 감독, 대학야구연맹 이사, 고민 등을 거치며 아마야구 저변 확대에 열을 올렸다.
빈소는 서울 아산병원 장례식장 7호(전화 (02)-3010-2000)이며, 발인은 11일 오전 7시20분이다. zzang@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