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아몬드’ 여운 통해 결말 상상

‘감정’ 못 느끼는 ‘깡통’&스스로 지운 ‘로봇’

[스포츠서울 | 표권향 기자] 배우 김건우가 뮤지컬 ‘아몬드’의 결말을 자신만의 해석으로 상상했다. 작품이 보여주는 따뜻함을 담은 해피엔딩이다.

김건우는 27일 서울 대학로 예술가의 집에서 진행된 라운드 인터뷰에서 뮤지컬 ‘아몬드’의 깊이 있는 여운을 함께 나눴다.

뮤지컬 ‘아몬드’는 알렉시티마라는 신경학적 장애로 인해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선윤재’가 주변 인물들의 사랑과 관심을 통해 ‘희로애락애오욕(喜怒哀樂愛惡欲)’을 표현해내는 이야기를 그린다.

극 중 김건우는 어린 시절 상처로 인해 폭력적인 소년으로 등장하지만, ‘윤재’를 만나면서 사랑과 이해하는 법을 배워 점점 변화되는 ‘곤이/윤이수’를 연기한다. 이처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인 것. 그는 감정을 못 느끼는 로봇 ‘윤재’와 감정을 스스로 지운 깡통 ‘곤이’를 ‘깡통 로봇’이라며 동맹을 맺는다.

그는 “공연을 거듭할수록 ‘윤재’에게 감정이 있는 것 같다. 특정 장면이라기보다 배우들이 표현하는 ‘윤재’를 통해 나도 바뀌는 현상을 경험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무대에서 설명할 수 없는 풍성함이 나올 때가 있다. 가슴 속에 숨겨둔 대사를 애드리브 한다거나 기존 대사에 첨가해서 극의 긴장감을 키워가는 경우가 있다”며 “배우들끼리 느끼고 아는 호흡을 객관화해서 관객들도 함께 공감할 수 있는 방향으로 표현하려고 노력한다”고 덧붙였다.

작품은 마지막 신을 통해 관객에게 직접 결말을 상상하라며 숙제를 던진다. 이는 극을 이끌어가는 배우들에게도 주어진 과제다.

김건우는 “말 그대로 ‘윤재’는 극적으로 감정을 알아가진 않고, 아주 조금씩 세상을 알아갈 것이다. 그런데 ‘곤이’는 좀 더 많이 변할 것 같다. 내가 상상하며 꿈꾸던 세상을 살아가려고 했기 때문이다. 안 좋은 꿈이긴 하지만, 세상이라는 것이 생각과 반대로 흐른다. 여러 상황을 겪으면서 일반화되는 ‘곤이’가 될 것 같다. 결론적으로 착해질 것 같은 ‘친구’다”라고 전했다.

사랑과 관심을 통해 소통과 자유를 배워가는 ‘아몬드’는 오는 12월14일까지 NOL 유니플렉스 1관에서 공연된다. gioia@sportsseoul.com